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화장품산업팀 김영찬, 황순욱, 이창민


1. 화장품법상의 유형분류에 맞춘 HS코드의 맵핑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대한화장품협회에서, 화장품 수출입실적은 한국무역협회(KOTIS)와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에서 각각 발표한다.

그런데 생산실적은 화장품법상의 유형별 분류 기준에 따라 집계되며, 수출입 실적은 HS코드 기준에 따라 집계된다. 이러한 분류 기준의 차이로 인해 화장품 생산실적과 수출입 통계자료를 매칭시켜 화장품법상의 유형별로 수출입 동향이 감안된 시장구조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관련업체의 마케팅 활동과 정부 정책의 입안을 위한 기본자료로서 이들 공식통계가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통합분류를 통한 시장분석이 의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여기서는 화장품법상 유형분류를 중심으로 HS코드의 맵핑을 시도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류를 통해 화장품 내수 시장 규모를 추정해 보았다. 이러한 재분류를 통한 내수(=생산+수입-수출)부문의 추정이 완전하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국내 화장품생산과 내수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익한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할 수 있다.

화장품법상 분류되는 화장품 유형은 어린이용 제품류, 목욕용 제품류 등 크게 10가지로 세분된다. 이러한 10가지 세분류에 HS코드 6단위와 10단위를 조화시켜서 화장품 내수, 수출입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아래의 <표 1>과 같이 화장품법상 10가지 분류 중 HS코드 분류와 일치하는 품목이 있으면 그 자료를 이용하였고, 일치하지 않으면 각 분류를 더욱 세분하여 가능한 일치하는 HS코드를 찾아 분류에 이용하였다.

▲ [표 1] 화장품법상의 유형분류에 맞춘 HS CODE의 맵핑 <자료 출처=화장품법, KOTIS>

예를 들면 어린이용 제품류는 HS코드 3304993000(어린이용 제품류), 염모용 제품류는 HS코드 3305300000(헤어래커)의 자료와 일대일로 일치하여 이를 이용하였다. 한편 방향용 제품류는 3303001000(향수), 3307902000(향낭), 3307909000(기타 조제향료, 화장품, 화장용품류)의 조합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두발용 제품류 역시 3305100000(샴푸), 3305902000(헤어크림), 3305901000(두발용 헤어린스), 3305200000(퍼머넌트 웨이빙용 또는 스트레이트닝용 제품류), 3305909000(두발용의 기타 제품류)의 자료를 조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화장품 생산, 내수, 수출입 자료를 추정하여 화장품 시장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표 2>는 관세청과 의약품수출입협회에서 발표하는 화장품수출입 자료의 각각의 합계와 함께 상기 본문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화장품법상의 유형 분류에 따라 HS코드를 맵핑시켜 산출한 수치를 비교한 것이다.

3개 기관의 수치가 다소 상이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관세청과 의약품수출입협회의 화장품 분류기준이 다소 차이가 나고, 본 기관에서 가공한 자료의 경우 HS코드와 정확히 일대일 또는 다대일로 매치되지 않는 품목 등(예: 의약외품 성격의 화장품)의 분류 차이에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간 증가율에서는 대동소이함을 알 수 있다.

▲ [표 2] 주요 기관별 화장품 수출입 자료 비교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