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대만 포함... 비중 낮출 전략 필요

뷰티경제는 대한민국 화장품 산업의 발전을 위해 '포스트 차이나' 시리즈를 기획, 게재한다.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너무 높은 구조에서 탈피하려면 우선 지리적으로 가까운 동남아 시장부터 발빠르게 치고 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포스트 차이나' 시장으로 손꼽히는 베트남·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필리핀·미얀마·태국 시장 등을 집중 분석해본다.<편집자>

[뷰티경제=한상익 기자] 중국이 화장품 시장의 룰을 바꾸고 있다.

중국은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의 최대 시장이다. 지난 2010년부터 5년 동안 중국은 국내 화장품을 가장 많이 사 가는 나라다. 한 번도 순위가 바뀌지 않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연간 수출실적의 30% 정도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

▲ 화장품 수출 '포스트 차이나'를 찾아라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의 수출 실적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0년 1억5000만달러(약 1734억원), 2011년 2억2800만달러(약 2635억원), 2012년 2억900만달러(약 2416억원), 2013년 2억8700만달러(약 3317억원), 2014년 5억3300만달러(약 6160억원)로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다. 홍콩까지 합산하면 규모는 더 크다. 홍콩은 2010년 5700만달러(약 659억원), 2011년 9200만달러(약 1063억원), 2012년 1억8800만달러(약 2173억원), 2013년 2억6600만달러(약 3074억원), 2014년 4억5200만달러(약 5224억원)로 약 25%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홍콩의 화장품 시장이 급격하게 커졌거나 혹은 홍콩 주민들이 다른 제품을 쓰다 한국 화장품으로 대체했다고 보기에는 증가율 폭이 너무 크다. 결국 중국의 각종 시스템 정비와 철저한 시행에 따라 우회적인 중국 진출 통로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의 통제권 밖에 있긴 하지만 대만까지 포함하면 의존도는 더 높아진다. 2010년 5000만달러(약 578억원), 2011년 6200만달러(약 717억원), 2012년 5800만달러(약 670억원), 2013년 8400만달러(약 971억원), 2014년 1억600만달러(약 1225억원)로 전체의 6%를 차지한다.

아무튼 중국과 홍콩 등이 차지하는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 의존도는 전체의 50%가 넘을 만큼 높다. 여기서 기존의 질서와는 다른 이성과 감성이 나타난다면 한국 화장품은 당황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위험분산 혹은 위기관리 시스템이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가장 절실하고 외세에 흔들리지 않기 위한 최적안은 한국 화장품이 스스로 강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고 가꾸어야 한다. 지나치고 편중된 수출 의존도는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중국과 홍콩에 대한 수출 비중을 낮추는 전략이 필요하다.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의 2014년 10대 수출국가 통계에 따르면 태국(7700만달러-약 890억원)과 싱가포르(4400만달러-약 509억원)·베트남·말레이시아(이상 3900만달러-약 451억원)·러시아(3300만달러-약 381억원)가 순위권에 들어있다.

이들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향후 경제 성장 전망은 높다. 특히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 브랜드숍의 K 해외영업 임원은 "동남아시아에서 한국 화장품에 대한 평판은 매우 좋다. 특히 고가의 화장품으로 인식돼 있다. 아직 중국에 대한 로망이 많은 건 사실이지만 이제는 동남아시아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고 전망했다.

또 유로모니터(Euromonitor)는 2014년 10월 미용 및 스킨케어 제품에 관한 보고서를 통해 "베트남 남성 소비자들이 화장품에 대해 갖는 의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화장품 제조기업들도 향후 베트남 남성 화장품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높게 보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몇년간 중국 의존도를 높여오던 대한민국 화장품산업은 최근 중국의 선진화된 시스템 도입으로 당황하고 또 긴장하고 있다. 이러한 압박에 대해 역으로 국내 화장품산업의 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찬스로 활용하는 이른바 ‘포스트 차이나’ 개발의 시대적 요구가 코앞에 바짝 다가와 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