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인 홍보로 다양한 서비스 활용의 장 만들어줘야

[뷰티경제=한상익 기자] 김승희 전 식약처장은 식약처를 떠나면서 ‘뷰티 프리 존’에 이어 ‘맞춤화장품’이란 두 가지 숙제를 남겼다.

김 전 처장은 새누리당 비례대표 11번으로 정계 입문의 길을 걷고 있다. 김 전 처장의 비례대표 순번은 안정권이라는 분석이다. 20대 국회가 구성되면 김 전 처장은 식약처와 관련 있고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보건복지상임위원회에서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

▲ 김승희 전 식약처장이 식약처를 떠나면서 ‘뷰티 프리 존’에 이어 ‘맞춤화장품’이란 두 가지 숙제를 남겼다

현재 식약처는 국내 뷰티 산업의 활성화와 행정의 일관성 유지, 그리고 향후 정치적 환경 등을 고려하면서 맞춤화장품 시행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다. 지방청 별로 시범사업 설명회도 실시했다.

대전청과 대구청은 지난 16일에, 서울청과 경인청은 17일, 부산청과 광주청은 18일에 각각 사업설명회를 열었다. 식약처가 할 수 있는 가장 우선적인 진행은 이미 완료한 상태다. 따라서 식약처는 앞으로 더 이상 설명회 관련 일정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화장품 제조판매업체 등에서 요청을 할 경우에는 대한화장품협회나 한국보건산업진흥원·대한의약품수출입협회 등과 협동해서 설명회를 진행할 수 있다고 밝혀 여지를 남겨 두었다..

‘맞춤형 화장품’ 판매는 화장품 제조판매업자의 직영매장이나 면세점 내 화장품 매장에서, 또는 관광특구 내 화장품 매장에서 ‘맞춤형 화장품’ 판매를 희망하는 매장에 한해 해당된다.

대한화장품협회도 이미 회원사에 이에 대한 취지와 목적 등을 설명하고 제도분과위원회를 열어 전반적인 제도 검토와 활성화를 위한 후속조치를 자체적으로 마련하면서 식약처와 협력해 나가고 있다.

이와 관련, 화장품업계는 “맞춤화장품은 기존에 볼 수 없는 새로운 시도다. 이 제도가 시행돼 정착되면 장기적으로는 많은 변화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대한민국 화장품은 사전관리방식을 유지하고 있지만 사후관리방식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는 “현재로서는 맞춤형 화장품을 실시한다 하더라도 기업의 입장에서 큰 수익을 올릴 수 없는 구조는 빈약하다. 실질적으로 많은 기업들이 참여해 붐을 조성하는데까지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또 업계 관계자는 “처음 시행하는 제도이므로 준비가 부족하다. 예를 들면 향수를 판매한다 하더라도 마구잡이식으로 할 수 없다. 조향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일시에 조향사를 맞춤화장품 매장에 배치할 수 있는 기업은 드물다. 앞으로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현재 화장품 매장의 가장 큰 정책은 기존제품 판매다. 디바이스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등을 추구하는 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맞춤화장품이 시행되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신규 고용 창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28일 현재까지 맞춤형 화장품 시범사업을 신청한 업체는 아모레퍼시픽(090430, 회장 서경배)과 LG생활건강(051900, 대표 차석용) 등을 포함해 한 자릿수라고 밝혔다. 많은 기업들이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기존 기업들과는 온도차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앞으로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특히 화장품 등 뷰티 기업들의 정확한 인식을 확립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돼 장단점을 충분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또 맞춤화장법은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활용이 이어져야 ‘탁상공론’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