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배치 보복 타깃, 면세점 구매 제한 조치 등 보도로 화장품업계 우울증...대한화장품협회 '규정 준수' 의연한 대비책 돋보여

[뷰티경제=권태흥 기자] 화장품 업계는 우울하다. 사드 배치와 관련 중국의 보복조치가 초미의 관심사인 상황에서 가장 타격을 받을 업종으로 주목받는 게 화장품이기 때문이다. 유커를 줄이던, 화장품의 위생허가를 강화하던 아직까지 이렇다 할 중국 정부의 조치는 없다. 그런데도 언론에서 너무 앞서가는 게 아닌가 걱정이 된다.

최근 면세점의 화장품 구매 제한 보도도 우울증을 심화시킨다. 지난 7월 29일 관세청에서 면세점업체에 국산화장품 50개 이내로 판매수량을 제한한다는 지침을 내렸다는 데 대해, 본지가 관계자와 통화한 바에 따르면 “지침을 내린 바도, 검토 중이란 말도 없었고, 관련 업계와 사전 협의 없이 지침을 내리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럼에도 증시에서 화장품 관련 대부분의 종목은 이틀 연속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그렇다면 관세청은 이에 대한 해명이나 보도자료를 내야 함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언론이 앞서갔던지, 언론플레이를 했던지, 중요한 것은 화장품 업계가 입은 피해다.

지난 7월 28일 대한화장품협회는 관계사 20명이 모여 사드 관련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최근까지 중국에 다녀온 업계 인사들은 “중국인들은 사드에 관심도 적고, 중국 정부도 아무런 움직임이 없다”고 전했다. 다만 부자몸조심 격으로 “중국의 법규와 규정을 준수해야겠다”는 내부 결론을 내린 바 있다. 중국 정부에 어떤 빌미도 주지 않는 게 최선의 대비책이라는 것이다. 아울러 언론에서 사드 얘기만 나오면 화장품 관련 보도를 쏟아내는 것에 대한 불편함도 내비쳤다.

현재 화장품 업계의 2분기 실적이 차례대로 공개되고 있다. 예상대로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이며, 하반기 전망도 밝아 증권사들마다 개별 종목의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화장품 주가가 가장 각광을 받을 시기에 잇단 악재성 보도로, 선량한 개미투자자들이 손해를 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드 배치가 확정된 7월 8일 이후 중국 정부의 보복이 있었는가? 국가와 국가 간의 문제는 언론에서 떠든다고 일희일비 할 문제가 아니다. 대한화장품협회의 간담회에서 내린 결론이 ‘의연하다’는 점이 시사하는 바가 크게 보이는 이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