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관서 사드 배치 논란 이후 검사 빈번...10일씩 지체

[뷰티경제=한상익 기자] 사드 배치 문제로 국내 화장품산업이 직간접적으로 불똥이 튀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짙다.

아직까지 중국은 보복 성격이 짙은 이렇다 할 조치는 없다. 하지만 물밑에서는 ‘설왕설래’다. 일각에서는 ‘만일 중국이 사드 배치에 따른 보복조치를 한다면 화장품 등 소비재는 너무 작은 분야다. 총량적인 부분에서도 규모가 작다’와 다른 일각에서는 ‘규모가 작기 때문에 전면적인 것 보다는 국지적인 것을 선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라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근 중국의 방문하고 돌아온 모 화장품사의 L 대표는 “몇 년 전부터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중국의 바이어와 미팅을 했다. 중국이 우리나라 화장품분야에 대한 제제를 취할 수 있는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L 대표는 “현재 중국의 동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일부에서 사드 배치 논란 이후 수출이 감소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돌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으나 별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겉으로 드러날 정도의 무모한 조치보다는 합리적인 수준에서 적법성을 고려한 수준의 조치들이 물밑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최근 나타났다.

현재 중국 북경에 거주하면서 한국화장품 등의 물류를 담당하고 있는 모 대표는 본지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사드 배치 논란 이후 중국 세관의 태도가 많아 달라졌다. 사드 논란 전 보다 통관이 까다로워 졌다”고 현지의 달라진 분위기를 전했다.

“중국 세관의 검사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보세 구역을 통해 수입되는 한국산화장품에 대한 검사가 이뤄지고 있다. 한번 검사가 진행될 때 마다 7일에서 10일씩 지체된다.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기간이 늘어나는 불편함이 따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검사를 실시하는 담당하는 정부 기관의 관계자가 ‘한국에서 수입되는 화장품에 대한 검사를 철저하게 시행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하는 것을 직접 들었다”고 밝혀 그동안 비정상적인 채널에 대한 감독을 철저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세관에 정식적으로 등록을 마친 화장품(오프라인 유통)의 경우에는 특별한 검사가 시행되지 않고 원활하게 통관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해 중국의 보복조치라고 단정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사드 논란 이후이기 때문에 예민할 수밖에 없다. 아무튼 유예기간일 지라도 정상적인 채널과 합법적인 유통을 할 수 있는 길을 시급히 마련해 나가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