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브랜드 육성과 글로벌 경쟁력에 지혜 모을 때

[뷰티경제=권태흥 기자] 지난 11일 중국 질검총국의 한국 화장품 통관 불허를 놓고 하루 종일 업계와 협회, 정부 부처는 부산한 움직임을 보였다. 초점은 언론이 사드 보복이라는데 의문을 가지자, 대한화장품협회와 정부는 진상조사 파악 후 해당 업체의 중국 규정 미준수라며 진화에 나서는 모양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도 ‘사드 보복 논란’이라는 한국 언론사의 반응을 보도, 큰 관심을 보였다.

기자가 업체에 확인한 결과, ‘중국 보복’ 해석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 다만 예전에는 통과됐는데, 이번에 걸렸다는 업체 관계자들의 말에서, 중국의 관련 법규 및 규정 강화 조치가 현장에서 실제 적용됐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물론 꼬투리라고 할 수도 있지만 업계 전체로는 사례의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또 이번 화장품 통관 불허가 5개사 19개 품목으로 많아 보이지만 실제는 1개 업체가 13개를 차지, 파문은 크지 않다.

화장품 업계 입장에서는 현실을 직시하고 냉정한 대책을 세울 때다. 그런 면에서 △사드 보복 가능성 △중국의 화장품 정책을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11일 중국은 사상 첫 안보백서를 내고 ‘사드 반대’를 북핵문제 다음 항목으로 소개했다. 같은 날 김관진 청와대안보실장은 미국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마이클 플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와 “사드를 반드시 배치한다”고 확인했다. 양국 정부의 사드 관련 입장은 배치된다.

중국의 유커 축소, 한한령, 중국 진출 기업 세무조사 등의 경제 보복은 모두 비공식적이다. 중국은 사드 배치 시 반드시 보복한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한국 정치 변화를 논외로 치면 상수(常數)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화장품 소비세 인하 △자국산 화장품 구입 유도 △화장품 위생기준 강화 등의 유턴 정책을 취하고 있다. 대한화장품협회 관계자는 ‘중국의 화장품 정책은 자국 산업 보호 일환으로 경쟁력이 강화될 때까지 지속적인 조치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확실한 상수다.

상수 가능성이 높은 하나와 확실한 상수 두 가지를 놓고 업계의 대응 논의가 필요하다. 이미 대한화장품협회는 지난해 7월 8일 사드배치 발표 이후 이명규 부회장은 “중국의 법규와 규정을 준수하고 품질관리에 신경을 써서 불미스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사드 보복과 관련 업계의 뚜렷한 대응은 없다.

중국의 내수 진작 정책과 화장품 소비세 인하는 우리나라 기업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다. 이 때문에 아모레퍼시픽은 재빠르게 제품가 인하를 단행하고, 현지 영업력 강화에 나섰다. 코트라도 브랜드력과 품질력을 갖춘 기업을 중심으로 옥석이 가려질 것이란 분석을 내놓았다.

첫 번째 상수는 한·중 외교가 결국 해결해야 할 일이다. 어떤 변수에도 ‘명품’은 국경을 넘는다. 두 번째 상수는 업계의 대처 능력에 달려 있다. 글로벌 경쟁력이다. 가능성 높은 상수와 변하지 않는 상수에 대처하는 업계의 지혜가 기대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