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판매 계약한 판매점도 계약파기 현상 발생해...

[뷰티경제=한상익 기자] 중국서 한국산화장품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최근 사드배치문제로 한-중간에 외교적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 롯데마트가 영업정지를 당하면서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다. 아직까지 중국은 한국산화장품에 대한 공식적인 언급 등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어떤 이유 때문인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최근들어 한국산화장품에 대한 세관의 통관지연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중국 세관측이 해당 제품에 대한 서류 보완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그동안 중국의 법과 규정에 따라 위생허가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이미 몇 년 전부터 아무 문제없이 통관을 거쳐 판매를 해오던 제품들이 지연되고 있어 중국 정부의 의도가 깔려있다는 해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한국의 화장품사들이 파견한 중국 지사의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몇 개월 사이에 코리아나와 참존, 입큰 등이 세관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엘지생활건강의 ‘후’도 지난해 8월부터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들 관계자들은 “통관 지연으로 인해 중국 전역의 일선 유통인들에게 적기에 제품이 공급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현상이 장기화되면 한국산화장품이 자연스럽게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높다”며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이들은 “이 같은 통관지연은 이유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지만 사드배치에 대한 영향이라고 단정할 수 없지만 아니라고 부정할 수도 없다. 게다가 중국 정부가 3월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수입화장품추적관리시스템’으로 인한 행정처리 미숙도 명분일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 같은 통관 지연과 함께 그동안 한국산화장품을 판매해 오던 일선 화장품 유통인들도 취급을 기피하는 현상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중국 현지에서 한국산화장품을 유통하는 관계자들은 “최근 들어 일선 판매점들은 중국 사회 전반에 불고 있는 반한감정으로 한국산화장품을 판매하기 어렵다며 구입을 꺼리고 있다. 개인적인 이익 보다는 국익이 우선돼야 한다며 취급을 기피하고 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이미 한국산화장품을 연간 얼마정도를 구입하겠다는 계약을 한 판매점들도 사드배치로 인해 지속적인 판매가 어렵다. 판매를 지속하면 지역사회에서 활동하기가 어렵다며 게약을 파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