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업계 한숨 넘어 분노, 다음 정부가 해결해 줘야

[뷰티경제=최형호 기자] 중국의 한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로 한중간의 관계가 급속히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가결에도 불구, 중국내 입장은 변함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는 박 전 대통령 탄핵 가결로 인해 중국의 입장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웠지만 결국 수포로 돌아가고 만 것. 결국 차기정부가 사드로 인한 한중간 갈등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지 여부가 관건이 됐다.

▲ 중국이 한국에 대한 사드보복조치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돼도 변함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중국정부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이웃나라 한국이 정치·사회적 안정을 찾길 바란다”면서도 사드배치에 따른 중국 내 조치와 관련해서는 “변함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다.

따라서 화장품 업계는 앞으로도 중국의 사드보복에 직격탄을 피해가지 못할 전망이다. 여기에 일부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제품 불매까지 선언하면서 화장품업계는 당분간 안갯속에 머무를 우려까지 제기됐다.

이날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박 전 대통령이 사드 배치 결정을 내려 양국 관계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며 “이미 중국은 한국의 사드 배치 결정에 반대 입장을 명확히 표명했으며 이 같은 입장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 중국은 박 전 대통령의 탄핵 전부터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을 제재하기 위해 중국 내 롯데 계열사에 전방위적 압박에 들어갔다. 여기에 수입이 잘되던 아모레퍼시픽 일부 제품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다며 수입 제재를 가하는 등 한국 기업에 대한 압박이 도를 넘어섰다.

또 중국 관세청은 이아소, 오띠, CJ, 애경 등 한국에서 제조한 화장품을 무더기로 수입 불허 조치를 내렸다.

이것도 모자라 10일 LG생활건강의 항저우 화장품 공장이 소방시설 시정 명령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는 등 사드관련 중국의 보복조치가 다른 한국 대기업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업계는 한숨이다. 사드배치로 인한 한중갈등에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줘야 할 정부가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것도 모자라 현직 대통령이 탄핵돼도 중국의 입장은 변함없다는 것을 확인하자 우려를 넘어 분노하고 있는 모양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관계를 맺던 중국 기업마저도 거래를 유보하자는 등 사실상 손을 떼고 있는 실정”이라며 “박 전 대통령이 탄핵 이후 중국의 입장변화에 내심 기대를 했는데…답답하다”는 푸념만 늘어놨다.

심지어 이번 사드보복으로 인한 중국에 대한 경제 피해, 즉 ‘차이나 리스크’는 눈덩이처럼 늘어날 우려다. 현재까지 중국의 사드보복으로 인해 국내 화장품 업계의 손실은 17조원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차기 정부가 사드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중국과의 교류 손실액은 눈덩이처럼 늘어날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설상가상 박 전 대통령 탄핵에도 불구, 사드 배치가 현실화 되면서 보복의 강도는 더욱 세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류열풍의 주역인 한국산화장품이 이번 사드조치로 받고 있는 상처가 너무 큰 셈이다.

이 때문에 업계는 차기 대통령이 중국과의 사드배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운 모습이다. 차기 대통령이 사드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느냐에 따라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풀이된다.  

화장품 업체 한 관계자는 “중국이 계속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방위적인 압박을 가할 경우 국내 화장품 산업은 계속해서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면서도 “결국 해결의 실마리는 차기 정부가 중국과의 사드갈등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달려있다”고 조언했다.

또 다른 업계 한 관계자는 “향후 중국정부나 내부 여론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몰라 일단은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차기 정부가 사드문제를 잘 해결해주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현재 중국 내에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소비자들도 한국화장품 불매 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등 사드문제가 외교를 떠나 중국국민들 사이로 깊숙이 침투해 들어간 모습이다.

그러나 현재 중국은 한국의 차기 정부와 이 문제를 협상하는 쪽으로 방침을 바꾼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새 정부가 들어선다면 다시 사드 배치 철회를 본격적으로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이에 정부 한 관계자는 “사드배치가 현실화된 상황에서 한중간 사드갈등이 원천적으로 돌아가긴 힘들다”라면서도 “(사드문제로 인한 한중갈등은)차기 정부가 국회 비준절차와 외교적 노력을 더해 한중간 합리적 결정을 내리는 것이 이번 문제의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