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관 소요 기간 과거에 비해 두배 정도 연장...

[뷰티경제=한상익 기자] 중국에서 ‘반 한국산화장품’ 표면적 정서가 현 상태에서 중지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소비자들의 내부적인 ‘반 한’ 정서가 존재하고 있어 사드 배치 전과 같은 원만한 시장질서가 회복되려면 상당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정 기간 동안 조정기를 거쳐야 할 것 같다.

최근 재중 한국화장품협회의 J임원은 본지와 전화 인터뷰를 갖고 “우리나라가 사드 배치를 확정 발표하면서 롯데가 영업정지처분을 받으며 중국 내에서 반한 감정이 높아졌다. 화장품의 경우에도 롯데처럼 직접적인 제재를 받지 않았지만 매우 위축됐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사회적 분위기로 일부 화장품 체인점들이 한국산 화장품 판매 거부도 나타났다. 중국 소비자들도 한국산화장품 판매점들에게 판매 중단을 요구하는 지적도 발생했다. 이후 더 이상 확산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 중국에서 ‘반 한국산화장품’ 표면적 정서가 현 상태에서 중지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고 있다.

또 “미-중 정상회담을 전후로 중국이 우리나라에 대한 사드 보복성 조치가 낮아지는 것처럼 느껴졌다. 회담 이후에도 중국의 언론들이 우리나라(한국)에 대한 자극적인 보도가 나오지 않고 있다. 현재와 같은 상황이라면 진정될 것으로 예상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여파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될 것 같다. 중국 국민들이 한국에 대한 불만이 존재하고 있다. 일본과의 영토분쟁이 발생했을 경우를 보면 회복기가 6개월에서 1년 정도 소요됐다. 아직도 완전하게 회복했다고 볼 수 없다. 우리나라도 이 같은 회복기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 된다”고 진단했다.

또 “현재 중국 정부가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검역 및 통관을 과거 보다 까다롭게 실시하고 있다고 느낀다. 과거에 비해 통관 기간이 기존에 비해 평균적으로 두 배정도 소요되고 있다. 원료 등 반제품도 마찬가지다”라고 설명했다.

또 최근까지 국내 모 화장품사 중국 지사장을 역임한 중국인 M씨도 전화 인터뷰를 통해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불매운동 등이 확산되는 기미는 없다. 한국의 대선 이후에 또 다른 변화 가능성이 있지만 현 상태에서 진정도리 것으로 예상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당분간 한국산화장품의 타격은 예상된다. 많은 중국의 유통사들이 올해 책정된 한국산화장품 구매를 다른 국가로 이미 전환했다. 앞으로 일본산화장품이 기존의 한국화장품의 공간을 채워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