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 화장품 등 부작용 속출하면서 방지대책이 이슈로 부상...

[뷰티경제=한상익 기자] 얼마 지나지 않아 중국의 쇼핑몰 벤더들은 자취를 감추었다.

중국 쇼핑몰 본사의 임직원들이 직접 방문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국내 대기업과 중견기업을 찾아 협의를 진행했다. 일부는 국내 기업의 보도 자료를 통해 알려졌지만 대부분 물밑에서 진행됐다.

실제로 국내에서 널리 알려진 모 기업에는 본사에서 협의를 진행하고 명동의 판매 현장까지 방문했으나 언론에는 노출되지 않았다. “중국의 모 그룹의 회장이 직접 방문했으며 언론 보도를 하지 않겠다는 사전조율이 있었다”고 회고했다.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의 임직원이 방문한 이후에는 해당 몰에 런칭한 사례가 나타났다. 뿐만 아니다. 일부 기업의 경우에는 중국의 자본이 해당 회사의 지분을 확보(투자)해 상호 공동 발전과 이익을 추구하는 실질적 사례도 나타났다.

 

이들 거대 쇼핑몰의 등장은 짧은 시간 안에 대량 판매로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중국에서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등용문이 생겼다. 반면 짝퉁 제품과 따이공 전면 금지라는 새로운 허들을 극복하는 과제에 봉착했다.

이들 거대 쇼핑몰들에서 판매한 제품이 가짜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중국 내부의 사회적 문제로 부각됐다. 또 국내의 유명 브랜드들도 짝퉁이 등장해 브랜드 이미지가 훼손됐다. 제품에 정품과 가품을 인지하는 ‘히든 테그’ 등 각종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펼쳤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의 모 쇼핑몰과 짝퉁 방지를 위한 협약을 맺기도 했다. 효과가 높지는 않았다. 또 내부적으로 원가 상승이라는 문제도 나타났다. 실효성이 없다는 판단이 도출됐다. 이 문제는 중국 정부의 생각과 의지만이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사회적 인식이 결부되면서 최근에는 큰 이슈가 되지 못하고 있다.

이와 함께 따이공 제품이 불법으로 유통되면 이들 거대 쇼핑몰들은 그만큼 판매가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여겨짐에 따라 그나마 잠시 열려있던 따이공 수출 길이 원천적으로 봉쇄되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는 국가 경제지표 통제를 위해 한시적으로 통관을 막는다는 게 통념이었다. 한 관계자는 “과거에는 한 쪽이 막히면 다른 쪽에는 출구가 있었다. 특히 봉쇄한다 해도 몇 개월만 지나면 다시 따이공 물류가 가능했다. 하지만 현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게 됐다”고 상황 변화를 설명했다.

이 과정 속에서 중국 정부는 불법 유통 제품을 근절하기 위해 마트 등 오프라인 유통에서 위생허가나 정식 통관 절차를 거치지 않는 제품을 유통하면 불이익을 주겠다는 강력한 정책을 발표했다. 이때부터 중국은 하루가 멀다 하고 굵직굵직한 화장품 정책을 속속 발표했다.

한편 국내 기업들은 이 같은 빠른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돌파하기 위해 중국 현지에 생산설비를 갖추고 영업을 하는 정책을 수립했다. 특히 코스맥스가 중국 현지화를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는 것을 두 눈으로 확인했다.(계속)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