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입은 국내 기업도 정보 공유하는 적극적인 자세 필요...

[뷰티경제 한상익 기자] 국내 화장품사는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중국의 ‘짝퉁 화장품’ 때문에 매우 곤혹스러웠다. 요즘에는 덜하다. 중국 정부의 단속 때문인지 사드 이슈로 순위가 밀린 것인지 아니면 내성이 생긴 것인지...

아무튼 중국의 짝퉁 화장품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정부와 화장품협회 등 관련 단체가 적극적으로 앞장서야 하고 기업 간의 정보 공유가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내에서는 이 같은 긴밀한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는 한편 국외적으로는 중국의 광동성이 짝퉁 화장품을 가장 많이 생산하고 유통하는 지역이므로 광동성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마련해야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최근 관세청과 코트라가 공동으로 그동안 국내 화장품들이 중국 시장에서 ‘짝퉁 화장품’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므로 이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수집해 분석한 ‘중국 위조상품 유통 분석(화장품)’이란 보고서를 통해서 이 같은 대응 매뉴얼을 제시했다.

중국서 위조 화장품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관련 상표의 출원과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하지만 국내 중소기업들은 인력과 예산 부족 등으로 이를 모니터링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와 관련 협회가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온라인에서 위조 화장품과 관련된 사건이 많이 발생한다. 우리 정부와 협회가 중국의 온라인 유통에 관심을 기울여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국내 해당사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와 관련 협회는 중국의 위조화장품 관련 판결문을 분석해 내용별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불특정 다수의 화장품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표나 상품을 도용당했을 경우에는 기업 간의 공유가 뒤따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중국의 위조화장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관련 협회가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중국서 상표가 출원 혹은 등록됐는지, 중국서 상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관련 기업들의 화장품이 위조 생산되고 있는 지 여부를 파악하고 해당 기업에 정보 제공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중국의 위조화장품 진원지는 광동성이다. 이 곳서 생산된 위조 화장품은 절강성, 하북성 등 2선 이하 도시로 유통되거나 외국으로 보냈다가 다시 중국으로 들여와 수입화장품처럼 위장된다. 때문에 광동성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에서 개최되는 각종 화장품 박람회에 참가하기 전에 자신의 상표가 중국에 출원됐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박람회에서 국내 기업의 상표 등의 정보가 새어나갈 수 있으므로 철저한 준비를 마치고 참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