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및 유기능 인증-화장품 인증기관 설립-해조류 규정 추진

화장품의 표준화(규제)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화장품 기업들로서는 자체적으로 알아서 잘 해 왔는데 정부의 가이드라인은 규제라는 입장이다. 궁극적으로 연구 개발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우려다. 소비자는 기업의 마케팅만 믿고 구입했는데 진실성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며 알권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기업이 더 투명해 지길 바라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케미컬 성분의 원료를 응용한 화장품이 대세였다. 공급이 수요를 쫓아가지 못하는 시대였다. 이후 기계화를 통한 대량생산시스템을 갖추면서 문제를 해결했다. 이후 안전에 대한 문제가 떠올랐다. 특히 기술과 과학의 거듭된 발전으로 기업들은 새로운 물질을 찾아내고 이를 응용하고 상용화하고 있다.

 

결국 그동안 없었던 새로운 물질에 대한 기업과 소비자의 충돌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부는 이 같은 갈등을 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충분하게 인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규정을 만들고 시행하길 희망하고 있다.

화장품산업에서의 이 같은 새로운 사회적 합의는 국내외를 불문하고 발생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이미 10여 년 전에 ‘한방화장품’을 가지고 정부와 기업, 소비자가 갈등을 했다. 하루가 멀다 하고 ‘한방화장품’을 표방하는 수십여 개의 신제품이 쏟아졌다.

이때 식약청(현 식약처)는 내부적으로 조용하게 ‘한방화장품’에 대한 실태 조사를 했다. 조사결과는 공개되지 않았다. 국내 기업들은 그동안 자체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시장에 진입하는 시스템의 변화로 당황하며 거부감이 높았다.

특히 소비자들도 이 부분이 왜 필요한지 등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다. 사회적 이슈화가 되지 못하고 조용하게 끝났다. 이를 기점으로 정부도 화장품의 안전성을 중요하게 인지하게 됐다. ‘건성건성’이던 자세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기 시작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그동안의 행동의 일정 부분에서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짙어졌다. 규제라는 입장을 표현하기에 충분하다.

현재 이 같은 갈등이 또 일어났다. 송석준 의원(자유한국당 이천)이 천연 및 유기농화장품에 대한 ‘국가 인증‘이 필요하다며 발의를 했다. 이 갈등은 오래 전부터 제기됐다. ’한방화장품‘ 이후에 기업들은 시장에서 더 강력하게 어필하기 위해 천연 및 유기농을 표방했다.

‘한방화장품’ 개발 및 출시는 거의 전멸하고 천연 및 유기농을 표방한 제품들이 즐비했다. 모 OEM사는 수천만원의 비용을 들여 유럽연합의 유기농 인증 마크를 획득해 공급한다며 더 강력한 차별화를 시도했다. 잠시 이슈가 됐지만 시들해졌다.

여기다 식약처는 몇 년 전부터 화장품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인증기관을 설립해 시행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화장품의 새로운 물질에 대한 규정이 추진되고 정부는 더 강력한 인증기관으로 안전망을 구축해 소비자를 보호하려고 움직이고 있다.

안전망 구축은 국내의 문제만은 아닌 것 같다. 최근 유럽연합도 자연유래성분, 유기농 성분만을 이용해 만든 화장품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조류(algae)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면서 구체적인 표준안을 마련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유럽연합은 화장품의 메카다. 세계 최고의 화장품사인 랑콤 등이 있다. 세계 화장품 트랜드를 좌우할 수 있는 능력을 충분히 갖고 있다. 많은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아무튼 세계 화장품 시장이 신 물질에 대한 안전성 확보 등을 둘러싸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나타나면서 또 다른 갈등은 물론 새로운 강자가 출현할 가능성이 짙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