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300여개 기업 참가...국내 기업 대응방안 마련 시급

지난 2008년 멜라민분유(독분유) 사건이 중국서 발생했다.

단순히 단백질 함유량을 높이면 수치상으로 고급 분유가 된다. 때문에 ‘싼루’라는 우유회사는 고급 분유로 만들기 위해 자사의 분유에 독성물질인 멜라민을 넣어서 판매했다. 이 분유를 섭취한 다수의 아기가 죽거나 중독현상이 발생해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했다.

이 여파로 중국 소비자들은 중국기업과 상품에 신뢰를 주지 않게 됐다. 또 기업 활동을 감시하는 정부가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당시 원자바오 총리가 직접 나서서 대국민 사과를 할 정도였다.

홍성주 한국씨티티 대표

여기다 중국은 오랫동안 짝퉁제품 생산국이라는 불명예를 가지고 있었다. 해외 유명 상품은 물론 중국 상품을 카피해 중국내 제조업에게도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제조 2025 계획에도 심각한 위협이 됐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국민의 건강권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급격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내외적으로 위조 상품문제와 품질불량, 저작권 침해 등과 관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절실함을 인지하게 됐다.

시진핑 주석까지 나섰다. “중국경제는 고속 성장단계에서 고품질의 발전단계로 전환됐다. 품질안전 전략을 수립해 국민들이 안심하게 먹고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19대 보고서를 통해 지적을 했다.

따라서 리커창 총리는 12대 전인대에서 “소비품의 품질안전감독, 추적, 리콜제도의 설립 및 보완을 강조하고 위조품에 대해 엄격하게 처리하여 소비자의 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해야 한다”라고 관련부서에 적극적인 검토를 지시했다.

리커창 총리과 시진핑 주석까지 국민의 건강권 확보에 높은 관심을 기울임에 따라 중국 국무원은 2015년에 ‘95호 문건’을 통해 정부의 각 주관부서에 품질안전을 위한 제품의 추적관리시스템을 수립했다.

하지만 또다시 백신사건이 터졌다. 2018년 7월에 장춘과 무한 지역의 백신제조사가 ‘불량 백신’으로 중국 국민들은 중국 상품과 정부에 대해 큰 불신을 갖게 돼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이 같은 연속적인 사건으로 국민들은 수입품 선호하는 소비현상을 초래했다. 중국 기업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또다시 하락시키는 원인이 됐다.

중국 정부는 국민들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제품의 품질관리이력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리게 됐다. 이미 2018년 6월부터 추적시스템을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지만 2020년부터 전격적으로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농산물, 식품, 약품, 화장품, 희토류 등에 추적시스템을 도입 중이며 일부 외국회사 및 도자기 등 고가이 대상이 되고 있다.

수입품은 2020년부터 의무화된다. 중국 수출을 하는 한국 회사들도 추적시스템을 도입할 수 밖에 없다.(상무부등 7대 부서가 중요 제품의 정보화 추소 시스템 건설 추진에 관한 시행 공고. 2017년2月16일)

이 추적시스템의 운영 주체는 국가가 인정한 추근소원과기유한공사다. ‘제3자 공공망’이기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으나 ‘中国追溯认证平台(중국추소인증평대)’가 국가의 공식 추적 인증시스템이다.

현재 베이징덕 체인점인 첸쥐더, 프랜차이즈 식당 ‘황멍지미판’, 보이차 중 최고가의 ‘덴만왕’, 한나라 시대부터 이어진 ‘경덕진’ 도자기, ‘모태주’, ‘수정방’, 낙농협회 주도로 전기업 참여 의무화에 의해 ‘蒙牛멍뉴’,’伊利이리’ 등 20여개 우유회사, ‘하인즈차이나’, 화장품 회사 등 중국 소비자의 신뢰도 높은 300여 기업의 상품들이 추적인증플랫폼에 참여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발표한 시행령을 따르면 한국 기업들이 먼저 도입해야 하는 상품들은 사실상 전 소비재에 해당된다. 심지어 자동차 부품 같은 반제품 상품 역시 추적제도를 도입, 적용해야 한다.

농산물, 식품, 의약품 뿐 아니라 수출입 상품은 ‘중요 제품의 정보화 추적시스템 건설 추진에 관한 시행 공고’에 모두 해당이 되며 저작권 상품 역시 2016년에 발표한 ‘지적소유권 침해와 위조품 제조에 대한 단속 지침’에 해당되어 추적인증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따라서 중국의 추적인증시스템을 이해하고 이를 준비해 나가야 한다. 또 플랫폼에 참여할 경우 제조와 유통, 소비에 이르는 모든 단계가 빅데이터가 해당 기업에 제공되기 때문에 중국 시장의 소비자 정보를 쉽게 제공 받아 마케팅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