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증권 리포트, 신생 및 벤처 브랜드, ODM·OEM 업체 수혜 예상...

이 같이 중국의 화장품 위생허가 시스템의 변화는 국내 증권가에도 관심있게 바라보고 있다. 다수의 증권사에서 리포트를 발표하면서 비안등록에 대한 전망을 발표했다.

 

삼성과 NH의 애널리스트는 중국이 비안등록프로그램을 지난 2018년 11월 10일부터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어 국내 화장품 수출이 증가될 것이라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 놓았다. 특히 중소 브랜드와 OEM사들의 시장의 접근성이 개선돼 수혜를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은경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지난 2018년 11월부로 중국은 비특수용 수입 화장품에 대해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변경했다. 허가제 하에선 수출품이 실제 판매가 가능해지기까지 6-9개월 소요 되었을 뿐만 아니라 허가 과정이 투명하지 않은 문제가 존재했다’고 지적했다.

‘화장품은 계절과 유행에 민감한 제품이란 측면에서 이는 치명적 수출 장벽이었다. 하지만 등록제 하에선 수출 절차가 3-6개월로 단축되므로 신제품 출시 주기가 짧은 제품 및 브랜드에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 (다만 비특수용에 해당되는 미백, 자외선차단제 제품에 대해서는 기존과 동일한 허가제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2016년 본격화된 중국 외 국가들로의 수출도 높은 성장세 지속할 것으로 기대되고 결과적으로 중국 경기 우려에도 불구하고 한국 화장품 수출은 전년대비 25%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제시했다.

조미진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중국의 일반 화장품 수입관리가 사전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전환됨에 따라 시장 접근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신생 또는 벤처 브랜드 업체들의 중국 시장 진출이 과거 대비 용이해지고 관련 ODM·OEM 업체들에 수혜가 예상된다’고 판단했다.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은 지난 11월 10일 이후 중국에 수입되는 비특수용도 화장품에 대해 사전 허가 대신 온라인 등록을 완료하면 수입과 판매가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즉, 중국 전역에서 일반화장품(비특수용도 화장품)의 중국 수입 절차가 간소화되어 현지 시장에서 시판까지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는 중국에 화장품을 수출하려면 사전에 중국 당국의 허가 심사를 완료해야 됐는데 이 기간만 평균 6~8개월이 걸렸다. 이런 비효율적인 사전 등록제가 일반화장품의 경우 온라인으로 제품 등록만 마치면 바로 시판할 수 있게 바뀌었다’고 밝혔다.

‘다만 등록 후 시판 중에 품질관리 등 사후 심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철저한 제품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 글로벌 상위 제품력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에게 제품관리 규제는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히려 경쟁이 완화되면서 규제를 통과한 기업들에게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중국 소재한 위생허가 대행기관은 “비안등록시스템능 갖추기 위해서는 사무실 임대 계약서와 사무실 평면도, 조직도 등 직원 현황 등을 모두 갖추어 운영해야 한다. 기존의 운영방식과 비교하면 인건비와 임대료 등을 더 많이 투자해야 한다. 중소 브랜드는 그만큼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예상하고 있다.

특히 "품질관리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그리고 소비자의 불만사항 등 클레임과 품질관리 직접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중국어에 능통한 직원 등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 한두명의 직원으로는 커버할 수 없게 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