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다음주 중 화장품관계자들과 회의 개최할 듯...

일본의 경제보복조치로 한일관계가 악화되면서 전자 등 각 산업분야가 어느 누구의 특별한 지원도 없이 스스로 피해 최소화를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화장품의 경우에는 아직 이렇다 할 사건은 없다. 대일 교역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다. 특히 이를 파악할 만한 주무부처도 없다. 현재 식약처가 화장품법을 관장하고 있지만 규제위주의 행정업무이므로 거리가 멀다.

복지부는 과거에 화장품산업을 관장했지만 식약청이 식약처로 승격되면서 화장품법을 이관했기 때문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낮다. 다만 보건산업의 진흥이라는 범주에서 소극적인 관여를 할 수 밖에 없는 처지다.

아무튼 현재 각 산업분야가 대일 관계가 악화된다는 가정 아래서 분주하게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화장품협회를 비롯한 산업관계자들은 만일 화장품도 일본과의 마찰이 발생할 경우 어떤 현상이 발생할 것인가를 놓고 깊이 고민하고 있다.

 

일본이 화장품에 대한 규제를 확대한다면 대략 화장품에 사용하는 원료와 기계장치류가 될 것 같다고 밝히고 있다.

일본에서 수입하는 원료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다. 각 사가 스스로 판단해 구매하기 때문에 집계하기도 어렵다. 특히 원료는 곧 각 브랜드의 경쟁 제품과의 차별성 및 효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공개를 강요하기도 어렵다.

업계 관계자들은 “과거에는 일본산 원료 의존도가 높았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 사태가 발생하면서 방사능 오염 문제가 세계적인 이슈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다른 국가의 원료로 대체됐다. 일부는 국내 원료산업이 조금씩 발전하면서 국산 원료로 대체됐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일본산 원료 수입 의존도가 낮다. 하지만 일본산 원료를 사용하고 있다. 정확한 규모는 단 한 번도 파악된 적이 없다. 만일 일본이 화장품 원료에 대한 수출 규제를 취한다 하더라도 전자산업처럼 즉각적인 피해는 없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

특히 “화장품원료의 경우에는 일본이 수출금지를 한다하더라도 대체할 만한 글로벌 원료사가 많다. 하지만 다른 원료로 대체할 경우 안전성과 품질에 대한 체크를 반드시 실시해야 하므로 일본 원료를 사용해 온 제품들은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또 “몇 년 전 마스크 팩의 시트재질은 거의 일본산을 사용했다. 이때 시트를 누가 얼마만큼 확보하느냐가 매출의 지름길이라고 할 정도였다. 하지만 현재는 대만이나 중국, 국내에서 개발됨에 따라 의존도가 낮다”고 설명했다.

“기계장치류의 경우에도 생산설비를 다시 보강할 때 발생하는 사안이므로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이 경제보복조치를 화장품분야까지 확대하다 하더라도 즉각적인 피해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복지부는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인한 화장품업계에 대한 피해여부와 앞으로 나타날 수 있는 피해정도를 예측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다음 주안으로 화장품 관계자들과 함께 회의를 개최할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