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타르색소 확인 가능한 전성분 표시방법 개선 필요

에스티로더의 맥과 LVMH의 디올이 립스틱을 판매하면서 국내 규정을 어긴 것으로 드러났다.

화장품법에 따라 화장품의 명칭, 책임판매업자의 상호, 제조번호와 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간(개봉 후 사용기간을 기재할 경우에는 제조연월일을 병행 표기)을 기재ㆍ표시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맥 레트로 매트 립스틱과 디올 어딕트 립글로우는 사용기한 등을 한글표시를 하지 않아 글로벌 브랜드의 자세가 아니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오늘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입술용 화장품 625개 제품의 타르색소 사용실태 및 20개 제품의 중금속(납·카드뮴·안티몬·크롬) 함량 등을 조사한 결과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20개 제품에 대한 제품 표시실태 조사에서 핑키립크레용(핑크공주/비씨엘코스메틱)은 제조번호를 표시하지 않았고 맥 레트로 매트 립스틱(코로모컴퍼니/이엘씨에이한국(유))와 디올 어딕트 립글로우(티아라(TARA)/엘브이엠에치코스메틱스(유)) 등 2개 제품은 사용기한을 표시하지 않고 한글표시가 없어 기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625개 입술용 화장품의 타르색소 사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615개 제품(98.4%)이 총 20종의 타르색소를 사용하고 있었다. 615개 제품은 평균 3종(최소 1종, 최대 17종)의 타르색소를 사용했고, 적색202호(66.2%), 적색104호의(1)(53.7%), 황색5호(51.7%), 황색4호(43.3%) 등의 사용빈도가 높았다.

적색202호는 입술염 등 피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도 입술용 화장품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의 절반 정도에 사용되고 있는 황색4호ㆍ황색5호는 두드러기 등의 피부 알레르기 반응이나 천식‧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일부 제품에서 사용이 확인된 적색2호ㆍ적색102호의 경우 미국에서는 식품ㆍ화장품 등에 사용이 금지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내복용 의약품ㆍ구강제제 및 영유아ㆍ만 13세 이하 어린이 화장품 이외에는 사용이 가능한 실정이다. 등색205호의 경우 국내외에서 식품에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고, 화장품에의 사용은 미국에서는 일반 화장품에서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으나 우리나라는 눈 주위 화장품에만 제한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어 있어 안전성 우려가 존재한다.

입술용 화장품은 어린이나 청소년도 전문매장이나 로드숍에서 쉽게 제품을 구입할 수 있고 섭취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적색2호ㆍ적색102호ㆍ등색 205호 등 안전성 우려가 있는 타르색소는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조사대상 20개 제품의 중금속 함량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 제품에서 납, 카드뮴, 안티몬, 크롬은 검출되지 않아 안전 기준에 적합했다. 그러나 20개 중 3개 제품(15%)이 제조번호나 사용기한, 한글표시 등을 누락하여 화장품법 기준에 부적합해 개선이 필요했다.

한편, 대부분의 입술용 화장품은 내용량이 10㎖(g) 이하이므로 포장에 전성분을 표시할 의무가 없으나, 소비자가 제품 선택 시 안전성 우려가 있는 타르색소 등의 포함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첨부문서·QR코드 등을 통해 전성분을 표시하는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업체에는 제품의 표시개선을 권고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입술용 화장품에 대한 일부 타르색소의 사용제한 검토, 입술용 화장품의 표시에 대한 관리ㆍ감독 강화 및 전성분의 표시 개선 방안 마련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

한편 국내 화장품 산업규모는 2017년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13조 5,155억원(전년 대비 3.6% 성장)이며, 매년 증가(2011년(6.3조원) → 2013년(7.9조원) → 2015년(10.7조원) → 2017년(13.5조원))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016년 기준 화장품 유형별 생산비중은 기초화장품(58.1%), 색조화장품(17.6%), 두발용화장품(10.8%) 등의 순이며, 2016년 색조화장품 생산실적은 2조 2,919억원으로 2012년(8,882억원) 대비 약 258% 증가했다. 색조화장품에서 립스틱·립글로스 등 입술용 화장품의 생산비중은 2016년 기준 18.3%로 파운데이션류(58.9%) 다음으로 높으며, 생산실적은 2012년 1,539억원에서 2016년 4,191억원으로 최근 5년간 약 272.3% 증가했다.

시장규모는 2017년 화장품 시장규모는 27조 7,776억원으로 2013년 13조 8,282억원 대비 최근 5년간 약 200.9% 증가했다. 유로모니터 조사에 따르면 2018년 기초화장품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0.7% 성장한 반면 색조화장품 시장은 4.3% 성장했으며, H&B 스토어 올리브영은 2019년 1~8월까지 입술용 화장품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2% 성장했다고 밝히는 등 색조화장품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잇다.

유통현황은 2016년 국내화장품 유통 매출현황에 따르면 온라인쇼핑몰 판매비중이 3조 4,095억원(18.9%)로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 방문판매(2조 7,348억원, 15.2%), 일반소매점(2조 2,535억원, 12.5%), 면세점(2조 1,273억원, 11.8%) 등의 순이다. 최근 3년간 판매비중이 증가한 유통채널은 편집숍(5.1%p↑), 온라인몰(3.9%p↑)이며, 브랜드숍(8.5%p↓), 대형마트(3.6%p↓)는 감소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