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봉쇄조치 강화로 수출 수요 감소, 불평등 심화 발생...

코로나 전염병이 발생할 때만 하더라도 우리는 더운 여름철이 오면 어느 정도 통제할 것으로 여겨왔다. 거기다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돼 겨울철에 다시 창궐하더라도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무더운 여름이 왔지만 코로나는 계속되고 있다. 문제는 코로나로 인한 경기불황이다. 얼마정도 지나야 코로나를 통제할 수 있는지 아니면 계속 함께 생존할 수 없는 지에 대한 판단할 수 없어 대책을 세우기가 어렵다.

 

최근 전경련은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와 공동으로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코로나19 이후 세계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 세미나」를 개최했다. 2021년이 돼야만 경기가 회복국면으로 진입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IMF Angana Banerji(앙가나 바네르지) 시니어 이코노미스트(Senior economist)는 현재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 경기회복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당초 예상보다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있고, 본격적 경기 회복은 2021년에서야 가능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처럼 세계 경제 회복이 지연되는 이유로 올해 2분기에 예상보다 길어지고 엄중해진 봉쇄조치(Lock-Down), 수출 수요의 감소, 코로나19 이후 불평등의 심화 등을 제시했다. IMF는 지난 6월 세계 경제성장 전망치를 직전(20.4월, -3%) 대비 1.9%p 낮춘 –4.9%로 발표했다.

또 앙가라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19로 올해 사상 최초로 아시아 지역 성장률은 마이너스 1.6%를 기록, 2020년 아시아 총생산은 코로나19 위기 발생 전 IMF 예상치보다 5%포인트 낮은 수준일 것이라며, 위기상황인 만큼 정책당국들은 국가채무 관리, 금융시스템 안정화, 사회안전망 강화, 노동시장 유연화 등에 특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여준 KIEP 선진경제실 미주팀장은 2분기 미국경제는 경제활동이 상당 부분 재개되고 주요 경제지표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임에 따라 V자형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으나, 최근 코로나가 다시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하반기 경기반등 가능성은 불투명해졌다고 전망했다.

양평섭 KIEP 중국경제실 선임연구위원은 중국 정부는 2020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설정하지 않는 대신 +3% 이상의 경제성장이 필요하다는 필요 성장률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중국은 여타 거대 경제권에 비해 코로나19 수습이 빨랐음에도 여전히 미·중 무역마찰의 기술·금융 분야로의 확산, 홍콩 국가보안법 갈등 등 미국과의 체제경쟁 격화 등 미·중 갈등이라는 리스크 요인을 안고 있음을 강조했다.

조동희 KIEP 선진경제실 유럽팀장은 유로지역은 거의 모든 국가가 도시봉쇄(lockdown)를 감행함에 따라 그 어느 지역·국가보다 코로나19의 경제적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고, 특히 코로나19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막대한 재정부담으로 일부 남부유럽국가에서 재정 및 금융위기가 재연될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규판 KIEP 선진경제실 일본·동아시아팀 선임연구위원은 2020년 일본경제는 관광·숙박·음식·도소매 등 대면 서비스 산업의 둔화와 글로벌 공급망 단절에 따른 자동차, 기계 등 전통적 제조업 수출 감소로 –5.0%의 성장률을 예상하고, 2021년 2분기에서야 경기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영식 KIEP 신남방경제실장은 2020년 ASEAN 경제는 유럽, 미국 등 주요국에 비해 제한된 코로나19 확산, 정책당국의 적극적인 대응, 상대적으로 낮은 국내 서비스산업 비중 등을 근거로 다른 주요 경제권에 비해 나은 –2% 전후의 성장률을 예상하고, 국가별로는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는 각각 –6%대, -4%대, -3%대, -1%대의 성장률을 예상한 반면, 베트남은 4%대의 플러스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정곤 KIEP 신남방경제실 인도·남아시아팀장은 인도는 지난 5월초 단계적 봉쇄령 해제 이후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20년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3.2%〜-5.2%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코로나의 조속한 종식, 비금융권 부실문제 해결, 제조업 경기 회복이 향후 인도 경제의 주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