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미 커버, 유분(오일) 컨트롤, 보습 등 다기능 추구
모공청결, 트러블 방지 겸한 클렌징 수요 증가
목용용품 및 향초 시장 급 성장

품질이 좋다고 자랑하는 국내 메이크업이 중국 시장에서는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은 피부 톤이 다르기 때문이라 치더라도 같은 동양인 피부인 피부이고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에서 조차 존재감이 없다는 것은 납득이 어렵다.

국내 메이크업이 빨리 중국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해야 한다. 하지만 국내 어느 곳에서도 중국의 메이크업 시장을 분석하고 데이터를 발표하는 곳이 없다. 최근 중국의 CBNdata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2021 여성 품질생활 트랜드 통찰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데이터에 따르면 베이스 메이크업은 쉐딩과 하이라이트가, 립 메이크업 컬러는 다홍색이, 아이 메이크업은 아이섀도우가 지난 2020년에 중국의 여성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거나 성장한 품목이다. 특히 클렌징의 소비가 크게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중국의 여성 소비시장 규모는 10조 위안을 돌파했고 84.3%가 전자상거래 채널을 이용하고 있다고 밝히고 2020년 여성 온라인 메이크업 소비 현황은 베이스 메이크업, 립 메이크업과 아이 메이크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밝혔다.

CBNdata 자료 캡쳐
CBNdata 자료 캡쳐

파운데이션/크림 파운데이션은 여성 온라인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 중 소비 규모가 가장 큰 품목이다. 쉐딩과 하이라이트의 증가 속도가 매우 높다. '하얀 얼굴'만 추구하기보다는 기미 커버, 유분(오일) 컨트롤, 보습 기능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립 메이크업 소비의 경우에는 다홍색과 팥죽색이 가장 인기 있는 컬러다. 로즈 레드색, 적갈색의 증가 속도가 가장 빨랐다. '마스크 메이크업' 열풍 속에 아이 메이크업은 가장 주목받았다.

2020년 여성 온라인 아이 메이크업 품목 중 아이섀도 소비가 가장 많았다. 아이라인의 증가 속도가 가장 높았다. 그동안 아이라인에 대한 수요는 대부분 방수, 땀 방지였으나 2020년에는 컬러 아이라인으로 변화를 했다.

메이크업 소비의 증가와 함께 클렌징에 대한 여성 소비자들의 욕구가 높아졌다. 최근 3년간 여성 온라인 클렌징 제품이 급성장하면서 화장을 지우는 기초 기능뿐만 아니라 모공 청결과 트러블 방지 기능을 가진 클렌징 제품이 인기가 많아지고 있다. 민감성 피부, 지성, 건성, 혼합 피부 등 피부 타입에 따른 소비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또 보고서는 2018~2020년 여성 온라인 목욕에 관한 소비 규모와 숫자가 크게 늘었고, Z세대는 목욕에 대한 투자는 가장 많고 엄마 소비층의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밝혔다.

목욕에 관한 제품 중에서는 바디 스크럽의 소비 규모가 가장 크고 목욕용 소금의 소비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르다. 목욕을 하고 나서 향초를 피우면서 여성 온라인 향초 소비도 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나무향이 가장 인기 있는 향이며, 과일 향의 소비 잠재력이 가장 크다고 전망했다.

한편 보고서는 2018-2020년 온라인 스킨케어 및 내복 미용 제품은 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여성 내복 뷰티 제품의 온라인 소비 규모와 인수 증가 속도가 스킨케어를 초월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