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유출 우려...품질안전책임자 인력난
고비용●허가기간 장기화 등 중소기업 타격

중국 약감국이 지난 51일부터 <화장품 등록 비안 관리법>, <화장품 등록 비안 자료 관리 규정> 등 관련 법규를 본격 시행하면서 외국 브랜드뿐만 아니라 중국 로컬 기업들도 신규 등록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국의 뷰티관련 매체는 프로야와 광저우준의화장품유한공사(广州遵义化妆品有限公司) 등 화장품 관련자 인터뷰를 통해 화장품 진입문턱이 높아지고, 원가가 높아지고, 주기가 길어지면서 화장품 등록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 지난 5월에 중국 산둥성에서 화장품사업을 하고 있는 K 대표는 본지와 인터뷰를 통해 현재 새로 발표된 규정을 숙지하고 있다. 요즘에는 비안 신청의 경우에도 안 나오고 있다. 신제품 등록비용은 기존 몇 천 위안에서 5~10만 위안으로 인상됐다. 품질안전 책임자도 반드시 고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 국내의 한 관계자는 올해 초부터 비안 신청이 안 나오고 있다. 국내에 진출한 위생허가 대행업체들도 중국의 화장품 규정이 정상화될 때까지 당분가 영업활동을 자제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새로운 규정 시행으로 신규 화장품 승인이 나오지 않고 있다. 그러나 중국 로컬 브랜드들은 이 문제를 정부에 공식적으로 제기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이후 하루에 400여개에 이르는 제품이 승인됐다. 수입 브랜드 정상화는 좀더 기다려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미 예상된 시나리오다. 하지만 전혀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변수가 나타났다. 새 규정은 등록 시 제품 레시피나 전 성분을 제출해하도록 했다. 함량, 조합 비율, 용도 등을 포함한 모든 원재료 그리고 재료 공급상도 명시하도록 해 기술노출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과거 우리나라도 기능성화장품을 시행할 때 로레알 등 글로벌 수입 브랜드들이 레시피 등 기업의 기술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반대했다. 앞으로 중국 시장에서 이 문제가 어떻게 해결될지 관심이 높다.

한편 해당 매체는 화장품업계가 문제로 생각하는 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우선 품질안전책임자(质量安全负责人)’가 없으면 등록을 못하는데 품질안전책임자인력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이다. 화장품 신고인과 등록인의 계좌를 신청할 때 품질안전책임자의 정보를 반드시 올려야 된다. 현재 10만 여개 브랜드가 있지만 품질안전책임자는 2500명뿐이란 것이다.

특히 새 규정은 등록 시 제품 레시피나 제품 전부 성분을 제출해야 하고 구체적으로 함량, 조합 비율, 용도 등을 포함한 모든 원재료 그리고 재료 해당 공급상도 명시해야 하므로 업의 기술이 유출 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그리고 새 규정은 화장품이 효능을 홍보할 때 효능 평가 데이터나 소비자 검사 데이터와 실험실 검사 보고서가 반드시 필요하다 비용이 많이 들고 주기도 길어진다. 생산 원가가 높아져 작은 기업이 도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

반면 일부에서는 새 규정 시행은 중국 화장품업계를 업그레이드하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주장했다. 새 규정은 신제품 개발 원가가 높이고 연구개발 주기가 길어지고 신제품 개발 속도가 느려짐에 따라 기업은 제품을 개발할 때 더욱 이성적이고 소비자의 실제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더욱 신경을 쓴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초가 튼튼한 화장품 업체와 원료 공급업체들에게 유리하고 일정한 연구 능력을 갖춘 화장품 업체의 발전을 촉진할 것이다. 그리고 과거에는 감독관리가 약해서 제품의 효능을 과장하거나 제품 이름에 효능을 붙여 소비자를 유인하는 사례가 있었다. 또 일부 불법 화장품 파운드리 공장에서는 제품에 불법과 금지 성분을 첨가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행위도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키워드

#약감국 #조례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