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화장품 무역흑자 7조원...9년 연속 흑자
8조2,877억 원(75억7,210만 달러)으로 16.1%(달러 기준) 성장
총 샌산실적 15조1,618억 원으로 전년 대비 6.8% 감소
손세정제 등 인체세정용 전년 대비 20.5% 증가
색조 화장용 제품 전년 대비 21.5% 감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에도 화장품 수출이 증가해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처음으로 7조 원을 돌파하고 9년 연속 흑자를 달성하는 등 호조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20수출 규모는 82,877억 원(757,210만 달러)으로 16.1%(달러 기준) 성장하면서 프랑스(1)·미국(2)에 이어 세계 3위다. 화장품 생산실적은 151,618억 원으로 ’19년 대비 6.8% 감소했다

코로나19 유행에 따라 화장품 생산 실적은 유형별로 엇갈렸는데 손세정제 등 인체세정용 제품류 생산은 전년 대비 20.5% 늘었지만, 마스크 착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색조 화장용 제품류 생산은 전년 대비 21.5% 감소하고 눈화장용 제품류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0.3% 증가)을 기록했다.

‘20년 화장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무역수지 7조 원 돌파 수출규모 세계 3수출시장 다변화 화장품 영업자 증가 손세정제 등 인체세정용 제품 생산 증가 등이다.

화장품 무역수지는 ‘12년 처음으로 1,006억 원 규모로 흑자를 기록한 이래 꾸준히 증가해 ’1961,503억 원(527,421만 달러) 이어 ‘20792억 원(64400만 달러)을 돌파하며 성장 중하고 있다.

지난해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는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 흑자 규모(4486,528만 달러) 14.3%를 차지했고 그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수출액 규모로 보면 화장품(75억 달러)이 가전(70억 달러), 휴대폰(41억 달러), 의약품(72억 달러)보다 많았다. 전체 무역수지 흑자 중 화장품 비율은 ‘163.5% ‘174.0% ‘187.1% ‘1913.6% ‘2014.3% 등이다.

‘20년 국가별 화장품 수출규모 분석 결과, 주요 국가의 수출실적은 대부분 전년 대비 감소한 반면 우리나라는 전년 대비 16.1% 증가해 프랑스, 미국에 이어 세계 3위다. 국가별 수출실적은 프랑스(1481,268만 달러) > 미국(881,160만 달러) > 한국(75억 달러 7,210만 달러) > 독일(694,703만 달러) > 일본(619,335만 달러) 등이다.

우리나라는 ‘17494,464만 달러(55,898억 원) 규모의 화장품 수출로 세계 4위를 달성한 후, 세계경제의 불황 속에서도 견고한 성장을 이어가 3년 만에 세계 3위를 기록하며 화장품 G3국가로 도약했다.

화장품 수출국은 ‘19137개국에서 ‘20160개국으로 늘어나는 등 세계 각지로 다변화되고 있다.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인 중국으로의 수출액은 38714달러(4 1,669억 원) 규모로 50.3%를 차지했고, 러시아 연방, 카자흐스탄, 일본, 영국, 캐나다, 미국 등 국가로의 수출액이 증가해 북방 지역과 주요 경제 선진국으로의 수출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191231일자로 화장(고형) 비누, 흑채, 제모왁스가 화장품으로 전환됨에 따라, ‘20년 화장품 책임판매업체수는 전년 대비 25.9% 증가했고 화장품 제조업체수도 39.8% 증가했다. 또한 맞춤형화장품판매업이 세계 최초로 시행(‘20.3.14.)됨에 따라 ’20년에 총 112개 맞춤형화장품판매업체가 신고됐다.

‘20년 화장품 생산실적은 151,618억 원으로 `19(162,633)에 비해 6.8% 감소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제품 유형별로 증감이 엇갈렸다. 염병 예방을 위한 손씻기가 강조되는 등 생활 위생 인식의 제고로 손세정제 등 인체세정용 제품류는 전년 대비 20.5% 증가했다. 또한 마스크 착용 및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해 색조 화장용 제품류 생산은 전년 대비 21.5% 감소한 반면, 눈화장용 제품류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0.3% 증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