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정부 완강히 버텨…불매운동 이어 조직정비,국제여론형성 예정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이 해당제품 제조회사 불매운동, 국제여론 형성 등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사진:이혜복)
기업의 책임회피와 정부 부처의 완강한 반대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의 구제안 마련이 난항을 겪고 있다. 피해자와 시민단체는 “불매운동과 국제여론 형성으로 적극 대응할 것”이란 대책을 내놓고 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는 2006년 대한소아학회 학술지에 영유아가 의문의 폐질환으로 사망하는 사례가 보고되며 알려졌다. 2011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가 역학조사와 동물실험 결과를 발표해 가습기살균제와 폐질환의 인과성이 밝혀졌다.  

보고된 피해사례만 401건, 사망사례 127건, 이중 3세이하 영유아 사망이 56건인 초유의 사태로 정부와 기업은 제품 회수 조치를 취했다. 하지만 이후 대책 마련은 없었다. 현재 기업은 정부 조사 결과에 불신을 표하며 따로 연구기관에 조사를 맡겼다.  

피해자들은 정부조사가 발표된 2011년 9월에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대책모임을 만들고, 언론을 통해 피해 현황을 알렸다. 지난해 5월부터 광화문에서 200여차례의 일인시위를 진행했다. 30여명의 피해자는 기업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딸이 사망하고 아내가 투병중인 피해자 가족 장동만 씨는 “아내의 한 달 약값만 200만원이 나가고 110만원 하는 약으로 바꿨더니 아내 신장이 다 망가졌다”고 하소연했다. “혜택은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뿐인데 매번 장애인 여부를 확인해 창문을 내릴 때마다 수치스럽다”고 증언했다.  

장동만 씨와 아내를 잃은 유족 정택무 씨는 박근혜 대통령에게 직접 서한을 보냈다. 장 씨는 “보건복지부와 환경부에서 대책 마련에 힘쓰겠다는 답장이 와서 기대했는데 정작 이뤄지는 건 없어 답답하다”고 말했다. 

사건의 실태를 언론에 알리고 피해사례 접수를 진행해온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피해자들이 나서야 하는 일이지만 현실적인 제약이 너무 많다”고 한다. 폐이식, 산소호흡기 등 중증의 피해자가 많아 직접 나서기 힘들고 전국적으로 피해가 산재해 있어 지방에서 생업을 제치고 대책마련에 힘쓰기 어렵다. 

피해발생 3년만에 열린 구제안 마련 공청회에 기획재정부는 “가습기살균제 피해는 기업과 개인간의 일이고 현재 진행중인 (피해자와 기업 간) 민사 소송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고 버텼다.  

기재부는 국회에 제출한 답변자료에도 “폐질환과 가습기살균제간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다”고 명시했다. 기업과 마찬가지로 정부 조사 결과를 부정한 셈이다.  

이에 피해자들은 보다 적극적인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피해자모임에 따르면, 조직을 정비해 정식 단체로 만들어 활동하고 정부공식조사가 발표된 다음달 31일을 기해 특별행동에 나설 계획이다. 또 피해 양산 제품 12종의 제조회사 대상 불매운동도 적극 검토하고 있어 파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적 여론 형성 계획도 있다. 장동만 씨는 유엔인권위원회와 영국 총리실에 상황을 알리는 서한을 보낼 예정이다. 가습기살균제 제조회사 중 영국계 기업인 옥시래킷벤키저를 겨냥한 것이다. 옥시는 236건의 피해, 그중 사망사례만 78건을 양산한 최대 피해 발생 기업이다.  

한편, 누리꾼과 데일리코스메틱 독자들은 가습기살균제 관련 기사에 “언젯적 일인데 아직 보상도 안 끝났냐” “기업과 정부 관계자에게 직접 저 제품을 쓰게 해야 한다”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게 철저한 대책이 마련돼야 할 텐데 너무 안일한 대처가 실망스럽다” “빨리 마무리되길 바란다” 등 의견을 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