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신 전경련 부회장, ‘제43차 한-대만 경제협력위원회’에서 주장

중국 시장이 미중 무역마찰과 중국의 홍색공급망 정책 등 환경이 변화하고 있어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존의 중간재를 통한 진입 보다는 화장품 등 소비재와 서비스 산업 위주로 틈새시장을 공략해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또 동일한 언어 사용권인 대만과 다각적인 협력을 통한 진출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43차 한-대만 경제협력위원회’에서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미중 무역마찰과 중국의 홍색공급망 정책 시행 등으로 중국과의 글로벌 통상환경이 변화하고 있다며 대응방안으로 중국 의존도 완화와 중국 내수 시장을 공략해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중국 의존도 완화를 위해서는 대만과 신시장 개척을 협력해야 한다.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대만의 신남향정책은 양국 정부가 아세안을 중심으로 아태 지역 국가 진출 확대 및 영향력 증대 목적이라는 관점에서 같은 맥락이므로 양국 간 정책 협력과 민간 차원의 협력을 통해 물량 공세로 대변되는 중국․일본과는 다른 방식으로 아세안 시장에 영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국 내수시장 공략도 양국이 함께 협력하여 진출해야 한다. 그동안의 전략에서 벗어나 중간재 무역이 아닌 소비재, 서비스 위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아직도 중국 내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1위 국가이며 여전히 중국시장에 어필할 강점을 가진 품목 및 문화컨텐츠 등 서비스로 차별화해 틈새시장을 공략할 여지가 있다.

특히 대만의 경우에는 중국 내수시장에서 진출이 용이하며 동일 언어를 사용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부 서로의 강점을 결합할 여지가 있는 부분을 발굴해 시범적으로라도 합작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보호무역주의 공동 대응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다자협정 무대에서 협력해야 한다. 올해 초 타결된 일본 등 11개국의 CPTPP의 경우 한국과 대만 모두 가입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한국과 대만 양국은 모두 자유시장주의를 통해 경제성장을 이루어온 만큼 RCEP, CPTPP, 아세안+3 등 관련된 다자협정 테이블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권 부회장은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중국의 홍색공급망 정책으로 타격이 우려된다. 이미 한국은 사드보복 조치로 인해 ‘롯데’ 등 중국 진출 기업이 짐을 싸야만 했다. 실제 수치상으로 볼 때 지난 해 대만의 총 수출 중 41.1%, 한국의 총 수출 중 24.8%가 중국으로 향했으며 이 중 중간재 비중이 대만 79.9%, 한국 78.9%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향후에도 중국은 ‘중국제조 2025’에 따라 2015년부터 10년 단위로 3단계에 걸쳐 산업고도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도 상황의 반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미중 무역마찰이다. 특히 지난 달 미국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할 500억 달러 규모의 로봇, 항공 등 미래산업 중심의 중국상품 1,300여개를 지정하자 중국도 동일 규모의 관세를 미국산 대두, 자동차 등 106개 품목에 부과하겠다고 맞불을 놓았다.

미중 간 무역마찰이 격화될수록 중간에 놓인 한국과 대만이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 중국과 미국은 교역대상 1, 2위 국가로 양국을 합해 한국 총수출의 36.7%, 총수입의 31.1%를 차지하기 때문에 미중이 통상을 두고 갈등이 커질수록 파급효과가 클 것이다. 특히 중국산 품목에 대한 미국의 고율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중간재 위주의 한국의 대중 수출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대만국제경제합작협회(CIECA)와 공동으로 5월 9~10일 대만 타이페이 샹그릴라 극동플라자호텔에서 ‘제43차 한-대만 경제협력위원회’(이하 한-대만 경협위)를 개최했다. 1968년 설립된 ‘한-대만 경협위’는 전경련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해외 경제협의체로, 올해로 설립 50주년을 맞았다. 1992년 단교시 중단되었다가 2000년 재개되며 양국 유일의 민간경제 협의체 역할을 해오고 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