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기준의원•관세청•식약처, 해당 브랜드 공개에 소극적 자세 보여...

2011년 일본 후쿠시마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했다.

이후 5년 동안 일본 화장품 회사들은 그야말로 '잃어버린 5년'의 시간을 보냈다. 방사능 공포가 일본산 화장품에 대한 기피로 이어지며 줄줄이 매출 타격을 입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11년 2천 259억 원에 이르던 일본 화장품의 국내 수입액은 2014년 1천 455억원으로 무려 35.6%나 줄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오르비스·안나수이 등의 일본 브랜드는 지속되는 실적부진에 한국을 떠나기도 했다.

 

이후 방사능 이슈가 사라지면서 일본 화장품은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의약품수출입협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일본 화장품 수입액은 2억 1,351만 달러이고 화장품 원료는 1억 3,489만 달러로 회복됐다.

하지만 올해에는 우리나라 대법원이 강제징용 배상판결을 내리면서 일본은 곧바로 불화수소 등 반도체 부품에 대한 수출 규제와 백색국가 리스트서 제외시키는 등 강력하게 대응했다. 이에 맞서 우리도 일본 제품 판매금지와 불매운동이 전개됐다.

이 같은 사회적 분위기 등으로 화장품의 경우에도 일본화장품 판매 및 불매운동이 벌어졌다. 특히 DHC TV가 혐한방송을 하면서 국민감정을 자극해 DHC 코리아가 서둘러 사과발표를 하는 등 논란이 불거졌다.

일본 화장품이 또 다시 국내 시장에서 위축될 상황을 맞고 있다. 입지가 좁아진 일본 화장품에 위기가 발생했다. 지난 11일 심기준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근거로 지난해 10월 인천공항 세관은 일본산 마스카라 제품 3.3톤에서 방사능을 검출했으며 해당 제품은 반송 처리됐다고 밝혔다.

특히 심 의원은 해당 브랜드(일본 업체)의 제품이 최근 3년간 (해외직구 포함) 중량기준 14.7톤, 금액 기준 185만 달러(한화 22.1억원) 규모로 국내에 유통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렇다면 방사능 문제가 완벽하게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풀이돼 정부 당국의 철저한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심 의원은 방사능 오염제품에 대한 해당 기업이나 브랜드 명칭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방사능 오염 화장품의 일부는 반송 처리됐지만 해외 직구 등을 통해 국내 소비자가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국내 소비자가 이 같은 위험에서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명칭을 알아야 한다.

하지만 심기준 의원실과 관세청, 식약처는 일본의 방사능 오염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명칭을 공개하는데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심기준의원실은 “따로 확인이 안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담당자가 국정감사에 들어가 있어서 연락 드리겠다.”고 관세청은 “공개는 안한다. 업체 정보나 개인정보는 발표를 할 수가 없다. 확실하게 조사를 해봐야 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업체명은 공개를 하지 않는다. 조사 중인 사항들은 조사가 다 끝나고 나서 공개가 될 수도 있지만 현재는 공개하지 않는다.”고 식약처는 “담당과에 확인해서 연락드리겠다.“고 답변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