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시장점유율 10% vs 중국산 'me too' 제품 한국 진출

[뷰티경제=권태흥 기자] 중국 정부는 내수 진작과 자국 산업 보호 및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유(U)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화장품도 주요 대상이다. 이미 각종 데이터를 통해 한·중 화장품 무역 역조를 개선하려는 중국 측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게다가 중국 로컬 브랜드들의 약진은 눈부시다. 그 저변에는 한국 업체의 연구원·마케팅 전문가 스카우트와 한국 내 생산공장 인수, 연구소 설립 등의 물밑 작업이 한창이다.

보건복지부, 중국시장 점유율 2020년, 10% 올린다

B 대표는 “한국 화장품 업계는 동북 4성”이라고 말한다. 현지 업체와 거래를 트고 나면 상황이 역전된다. 물량에 목매달다 보니 유통질서나 가격은 ‘사례별(case by case)’로 된다. 중국 독점권을 요구하고, 만일 들어주지 않으면 도중에 다른 기업과 사업을 진행하는 등 딴 살림을 차리기 일쑤다. 그는 “이미 중국 밴더들에 ‘made in Korea’는 마케팅을 위한 동북 4성의 생산기지며, 한국 중소기업들은 그들의 주문을 맞춰주기만 하는 하청업체일 뿐”이라고 전했다.

또 중국 로컬 브랜드는 한국의 마케팅 전문가와 연구원들을 무더기 스카우트, 진용을 갖추고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연구원들의 포뮬라를 통해 한국산 ‘me too’ 제품 양산 채비를 갖췄다고 보면 된다. 중국 로컬브랜드의 생산 기지화는 이미 상당히 진행됐다는 게 그의 얘기다.

ODM 업체들이 대규모 투자와 중국 현지 생산으로 기세를 올리지만, 뚝심이 언제까지 통할지는 지켜봐야 한다. 호랑이 굴에서 호랑이를 잡을지 고양이가 될지는 시간이 말해 줄 것이다.

지난해 9월 보건복지부는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을 발표했다. 화장품의 경우 ‘중국시장을 제2의 내수시장화’하는 전략을 세웠다. 해상운송 확대 및 온·오프라인 체험관 운영, 피부특성 조사를 통한 맞춤형 화장품 개발 지원 등을 통해 중국시장 점유율을 2015년 2%에서 2020년까지 10%대로 끌어올리겠다는 것. 그러면서 한류 기반 고급 브랜드 이미지 구축, 샴푸·린스 등 제품군 확대 등은 고무적이지만, 중국의 수입조건 강화 및 중국으로의 인력·기술 유출 등에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또 중국 시장 점유율을 높이되 포장·디자인 고급화, 기술력 제고를 통해 수출 다변화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보건복지부의 계획대로 중국시장을 제2의 내수시장화 하려면, 먼저 일선 화장품 기업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즉 유통질서와 가격 질서의 확립이다. 제 살 깎아 먹기 경쟁으로. 옛날 속담처럼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아무개가 번다’는 우화가 반복되면 안 될 것이다.

'made in china' 한국 시장 진출은?

한편 지난해 1~11월의 대중국 화장품 수출액은 14억 2,470만 달러로, 같은 기간 전체 화장품 수출액 38억 800만 달러의 36.7%나 된다.

중국 비중이 높다 보니 최근의 질검총국의 통상적인 통관 불허 조치에도 업계가 긴장한다. 가장 큰 걱정은 미국에서 이동하는 사드 포대가 한국에 도착하는 시점에서 일어날지 모르는 한국상품 불매운동이다. 일본 자동차가 불매운동 후 회복하는 데 4년이 걸린 사례도 있다. 빅2의 중국 비중은 40% 내외, 중소기업은 80%가 넘다 보니 고삐를 쥐고 있는 쪽은 중국이다.

관점이 중요하다. 중국을 제2의 내수시장화 할 것인가, 동북 4성의 생산기지로 전락할 것인가? 앞에서 얘기한 유통과 가격질서를 유지한다면 후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전자가 되려면 전략이 중요하다. 발상의 전환을 통한 아이디어와 지식재산권 강화가 필수적이다.

대형 마트에 가면 가성비를 무기로, 필요한 기능만 넣은 중국산 전자제품이 하루가 다르게 매대를 넓히고 있다. 한국 화장품 시장에도 ‘made in china’가 들어올 것이다. 중국산 ‘me too’ 제품이 시장에 범람할 때가 조만간 올 것이다. 한·중 화장품 시장에서 누가 승자가 될까!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