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경제 박웅석 기자] 화장품 업계가 화장품 포장공간비율을 확대하고 이들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포장공간비율이란 전체 포장에서 제품을 제외한 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반면 녹색소비자연대는 포장단위가 커지면 비용이 올라가 소비자 부담이 증가하고 환경적으로도 역행하는 정책이다는 주장이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화장품류 제품에 대한 포장공간비율을 단위제품의 경우 10~15%에서 35%로, 종합제품의 경우는 25%에서 35~40%로 상향조정 하는 등 2018년 말까지 한시적으로 완화했다.

▲ 화장품 업계가 화장품 포장공간비율 확대와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화장품 업계는 협소한 포장공간비율 규제로 포장 디자인이 제한돼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져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즉 포장공간비율 확대 제도가 한시적 적용이 아닌 항구적으로 적용되도록 개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는 2018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포장의 제한으로 경쟁력 있는 고급화된 포장을 디자인 할 수 없어 외국 제품과 디자인 경쟁력에서 밀려 판매에 어려움이 있다는 입장이다.

또 포장공간비율이 협소할 경우 제품 포장시 시간이 많이 소요돼 생산의 자동화에도 한계가 있어 생산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입장을 펼치고 있다.

▲ 화장품 업계가 화장품 포장공간비율 확대와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특히 화장품 및 포장재의 생산업체 폐기물 원천 감량과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제도(EPR 제도)를 병행하고 있어 이는 이중규제에 해당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소비자 입장은 다르다.

녹색시민연대 김미리 부장은 “화장품업계도 환경을 인식하는 몇몇 기업이 포장지를 줄이거나 아예 용기로 된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가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기업들도 친환경 경영을 도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마케팅만을 내세운 과대 포장은 일부 기업들이 추진하는 친소비자마케팅에 역행하는 행위다”고 말했다.

그는 또 “포장이 크면 좋게 보이겠지만 이는 기업이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들이 충동구매 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상술일 수 있다”면서 “포장이 커질 경우 비용을 기업이 부담할지도 의문이다.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이 뻔하다. 포장만 커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