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8년 말 완화정책 끝나면 다양한 문제 발생될 수 있어...

[뷰티경제 한상익 기자] 느닷없이 화장품의 포장 공간비율 확대가 논란이 되고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일 년에 한 두 번씩 화장품 포장 공간비율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를 던졌다. 선물세트가 판매가 성황을 이루는 구정과 추석 때가 지나면 기다렸다는 듯이 환경부는 규정 위반업체를 적발해 발표했다. 단골메뉴였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전부터는 이 같은 위반 현상은 거의 사라졌다. 그 이면에는 세트 판매가 감소하고 소비자들의 단품 구매 현상이 나타나 세트의 주목도가 낮아졌다. 더불어 화장품사들도 세트 판매에 앞서 공간비율을 맞추기 위해 샘플이나 화장솜 등을 포함시키면서 규정을 교묘하게 지켰기 때문이다. 여기다 정부의 완화정책 시행 때문이다.

▲ 화장품의 포장 공간비율 확대가 논란이 되고 있다.

더 이상 포장공간비율문제는 화두가 되지 못했다. 조용한 포장공간비율에 대해 최근 화장품협회는 포장 공간 비율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나섰다. 협회의 주장은 ‘외국과의 디자인 경쟁력 향상과 생산의 효율성 추구, 이중 규제’라는 논리를 앞세우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국내 굴지의 화장품사 한 관계자는 다음과 같이 이유를 털어 놓았다. “포장 공간 비율 문제가 이슈화되지 않은 것은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6년에 국내 화장품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오는 2018년도까지 한시적으로 완화시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완화조치의 시기가 앞으로도 1년 반이 남았다. 그런데도 지금부터 논란을 부추기는 것은 이해가 어렵다. 이에 대해 이 관계자는 “화장품이라는 재화의 속성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다. 화장품 세트를 기획하기 위해서는 이미 6개월 전부터 기획한다. 일례로 현재 올 가을 추석선물세트 생산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만일 이 완화정책이 더 이상 연장되지 않으면 내년부터 곧바로 화장품 포장을 새롭게 디자인해 규경에 맞는 생산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포장의 레이아웃이나 몰딩 등 종합적인 부분에서 검토를 해야 한다. 시기적으로 문제제기가 빠른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굳이 비용 증가 요소가 발생하고 환경적인 문제가 지적되는데도 불구하고 포장공간비율이 그렇게 중요한 것인가. 가성비만 좋으면 되지...

이 관계자는 “현행 포장공간비율을 준수하려면 패키지의 다양한 디자인을 추구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다. 화장품 용기가 스킨이나 로션은 세로 모양이고 크림 등은 가로 모양 등이다. 획일적이지 않고 제각각이다. 규정을 준수하려면 다양한 디자인이 어렵다”고 털어 놓았다.

“결국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현행 제도 아래서는 샘플이나 화장솜 등을 지속적으로 넣어야 한다. 특히 매장에서 진열하는 경우에도 획일적일 수밖에 없다. 경쟁 제품과의 차별적인 진열은 물론 시선을 끄는데 한계가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포장공간비율에 대한 규정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따라서 포장공간비율을 규정으로 묶지 말고 각 기업의 자율성에 맡기는 것도 심도 있게 검토해야 할 시기”라고 논리를 전개했다.

앞으로 이 문제가 원가 상승 요인과 환경적 문제라는 사회적 논리와 국산 화장품의 경쟁력 배양이라는 화장품기업들의 논리가 상반되고 있다. 어떻게 합의가 도출될지 중요하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