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시, 매월 정기회의 통해 보완책 마련해 전국 확대 시행 계획

지난해 하반기까지 국내 화장품의 최대 이슈는 중국의 위생허가 취득이다.

수많은 중국의 위생허가 대행기관들의 국내에서 세미나를 열면서 국내 기업 유치에 힘을 기울였다. 식약처와 화장품협회도 중국 위생허가 교육을 실시했다. 중기청이나 지방자치단체도 위생허가의 일정 비용을 부담해 주기까지 했다.

 

뿐만 아니다. 일부 기업들은 위생허가가 서류 보완 등의 이유로 지연되면서 빠른 위생허가를 받기위해 ‘급행료’라는 명목을 지불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급행료를 지불하고 빨리 받았다는 사실은 찾기 어렵다.

이 같이 위생허가가 핫 이슈였다. 중국 상해시는 지난 2월에 3월1일부터 2018년 12월21일까지 한시적으로 상해시 ‘포동’을 통해 수입되는 화장품 가운데 일반 화장품에 대해 위생허가를 면제하는 시범 사업을 실시한다는 획기적인 방침이 발표했다. 이 트랙을 이용하면 9일 만에 위생허가를 받을 수 있다는 획기적인 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상해시 ‘홍차우’에 밀집해 있는 우리나라 기업들은 난감했다. 소재지를 ‘푸동’으로 이전하지 않으면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향후 동향을 파악하면서 결정을 하겠다는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랑콤등 외국 기업들의 사정은 달랐다. 대부분 ‘푸동’에 소재지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9일 상해 지방정부 식약국은 일반 화장품에 대한 위생허가 면제시스템을 통해 신청한 많은 수입화장품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거쳐 제1호 허가 화장품은 로레알의 랑콤청결마스크(2017000001)라고 발표했다. 또 2호는 일본의 시세이도 나스 립펜슬(수박 레드)(2017000002)다. 성공 사례를 발표했다.

상해 정부의 위생허가 면제시스템이 실시된 지 5개월이 지나가고 있다. 3월1일부터 현재까지 ‘푸둥’신구를 통해 ‘비안등록’을 마친 비 특수 화장품은 214품목에 이르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이용하면서 활성화되고 있다.

7월 한 달만 하더라도 107개의 화장품이 ‘비안등록’을 통과했다. 그중 3개 기업의 33개 제품이 통관절차를 마치고 이제 곧 중국 국내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다.

원활한 행정 심사 비준 절차를 위해 상해시 식품약품감독관리국, 푸둥시장감독관리국, 푸둥세관과 검험검역등 기관에서는 합동 회의제도를 도입했다. 매월 정기 회의를 통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또 상해 자유무역구의 시범 정책은 보완을 거쳐 전국으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신운철 박사(한중마케팅협회 이사장)은 “‘푸동’의 비안등록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비안’이 겉으로 보기엔 수입 요구 조건을 낮춘 듯 보이지만 사실상 심사과정을 사후로 미룬 것이다. 사전 심사가 아닌 사중, 사후 감독관리에 치중한다는 정책이다. 과거 기업이 제출한 자료는 심사비준기관에서 심사를 진행했다면 현재는 반드시 자료에 대하여 충분히 검토한 후에 제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