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금액·무역수지·수출중량 3대 지표 개선
스킨케어 수출단가 하락돼 수익성 악화
스킨케어, 69만 달러...메이크업, 28만 달러 증가

국내화장품은 중국 특수를 통해 만들기만 하면 팔리는 풍요로운 시대를 지냈다. 하지만 2022년부터 연구개발 및 현지 마케팅 부족, 소극적인 유통채널 개척, 중국 로컬 브랜드의 성장 등으로 위축되고 있다. 따라서 미국과 북미시장과 동남아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따라서 관세청의 HS코드를 분석해 9대 수출국에 대한 통계데이터로 글로벌 진출 현황을 진단하고 있다. -편집자 주-

[7]2023년 1분기 말레이시아 수출입 현황  

K뷰티의 말레이시아 수출은 개선됐다. 그러나 수출 가격이 하락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관세청의 지난 1분기 말레이시아 수출 통계를 분석했다. 스킨케어는 지난해 동기 보다 수출금액, 무역수지, 수출중량 등 3대 지표가 모두 개선됐다. 그러나 톤당 수출가격이 하락돼 수익성은 낮아졌다. 메이크업의 경우에는 수출금액, 무역수지, 수출중량이 모두 향상됐고 수출 단가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다.

스킨케어부문의 수출금액은 지난해 1분기는 총 1,184만 달러(1월 3,378천 달러, 2월 3,830천 달러, 3월 4,633천 달러)를 달성했다. 올해 1분기는 총 1,253만 달러(1월 2,937천 달러, 2월 3,810천 달러, 3월 5,783천 달러)를 달성해 전년 동기 대비 69만 달러가 증가됐다

무역수지는 지난해 1분기는 총 1,151만 달러(1월 3,337천 달러, 2월 3,727천 달러, 3월 4,452천 달러)를 달성했다. 올해 1분기는 총 1,203만 달러(1월 2,754천 달러, 2월 3,600천 달러, 3월 5,685천 달러)를 달성해 전년 동기 대비 52만 달러 개선됐다.
 
수출중량은 지난해 1분기는 총 440톤(1월 154.5톤, 2월 132.7톤, 3월 154.2톤)에 이르렀고 톤당 수출가격은 2.6만 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는 총 503톤(1월 115.7톤, 2월 138.9톤, 3월 250.4톤)으로 톤당 수출가격은 2.4만 달러였다. 수출금액과 수출중량이 증가했지만 톤당 수출가격이 하라돼 수익성은 떨어졌다.

말레이시아 수출이 증가됐다.
말레이시아 수출이 증가됐다.

메이크업부문의 수출금액은 지난해 1분기는 총 56만 달러(1월 186천 달러, 2월 168천 달러, 3월 206천 달러)를 달성했다. 올해 1분기는 총 84만 달러(1월 305천 달러, 2월 243천 달러, 3월 296천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8만 달러가 증가됐다.

무역수지는 지난해 1분기는 총 56만 달러(1월 186천 달러, 2월 168천 달러, 3월 206천 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는 총 84만 달러(1월 305천 달러, 2월 243천 달러, 3월 296천 달러)를 달성해 지난해 동기 보다 28만 달러 향상됐다.

수출중량은 지난해 1분기는 총 10톤(1월 3.3톤, 2월 3.5톤, 3월 4.1톤)이었고 톤당 수출가격은 5.6만 달러를 형성했다. 올해 1분기는 총 15톤(1월 5.0톤 2월 3.6톤, 3월 6.5톤)으로 증가됐고 톤당 수출가격은 5.6만 달러로 지난해 동기 수준을 유지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