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생산 기지 다변화 통해 글로벌 브랜드 육성 해야

[뷰티경제=최형호 기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로 인한 중국의 보복조치에 국내 화장품 업계가 긴장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내에 화장품 제조 공장을 두고 있는 업체들도 안심할 수 없는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중국이 한국산 화장품 수입에 대해 통관 절차 등을 까다롭게 강화하는 바람에 상대적으로 중국내 화장품 제조 공장을 둔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이익을 보는 실정이지만 중국 당국의 보호무역 정책 강화와 불안한 소비자들의 심리가 ‘어디서 어떻게’ 보복을 가할지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

7일 업계에 따르면 이미 중국은 사드 보복조치로 자국 여행사에 한국 관광상품 판매 중단을 지시하고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을 제재하기 위해 중국 내 롯데 계열사에 대한 전방위적 압박에 들어갔다. 수입이 잘되던 아모레퍼시픽 일부 제품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다며 수입 제재를 가하는 등 한국 기업에 대한 압박이 도를 넘어섰다는 지적이다.

또한 업계는 ODM(제조업자개발생산) 업체가 당분간 사드보복을 피해갈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하면서도 중국이 반한기업 기조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가면 중국내 한국기업 공장도 안심할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현지 한국 제조 공장에 대해 자국민 일자리 확보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강도 높은 제재를 가하지 않겠지만 최근 라네즈 매장에서 일어났던 중국 소비자들의 돌발적인 항의 사태가 발생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며 “유통 및 제조 비용 줄이기를 위해 무조건적으로 중국에 공장을 짓기 보다는 한국 내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해 적정 수준의 투자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업계는 장기적으로 ‘차이나리스크’를 줄이면서 국내 화장품 선호도가 높은 동남아, 유럽 등 수출다변화를 통해 ‘포스트차이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 화장품을 비롯한 일부 업종의 중국의존도는 상당히 높다. 지난해 ‘화장품산업 수출실적 통계’ 자료를 보면 한국이 중국에 수출한 화장품 총액은 15억 7027만달러(1조 7980억원)로 전체 37.5%에 이른다.

국내 화장품 산업이 중국의 영향으로 단기간에 크게 성장한 반면 중국 의존도에서 비롯된 잠재된 위험이 그만큼 큰 셈이다.

이에 업계 관계자는 “중국인 관광객에만 의존했던 관광산업 뿐만 아니라 화장품 산업도 무슬림, 동남아시아, 유럽 등 다양한 지역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수출도 여러 지역으로 넓혀야 한다”며 “중국 내 공장을 이런 지역으로 확장해 차이나리스크를 줄이는 기회를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업계도 이번 기회에 한국화장품이 글로벌 브랜드를 능가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그간 중국에 의존했던 수출전략을 한국산화장품 선호도가 높은 지역으로 외연을 확장해 ODM업체도 비단 중국뿐 아니라 한국산화장품을 선호하는 동남아 등지에 부지를 확보하는 대로 실행에 옮길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화장품 업체 몇몇 기업은 중국 내 공장을 건립해 주력하는 방식을 벗어나 세계로 외연을 확대해 나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이번 기회에 질 좋고 값싼 한국산 화장품 이미지를 벗어나 랑콤, 샤넬처럼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한다면 정치적 관계를 떠나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제품을 알아서 찾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