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생허가 시 필요한 샘플이 원할하게 통관되지 못해..."

 

[뷰티경제 한상익 기자] “중국 화장품 시장 지출의 첫 단계인 위생허가는 그럭저럭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통관이 어렵습니다.”

사드 문제가 제기되기 전에 중국 화장품 시장 진입의 가장 큰 걸림돌은 위생허가였다. 중국 정부의 제도 변화 등에 따라 지난해 위생허가가 원활하지 못했다. 위생허가 지연문제가 국내 화장품산업의 핫 이슈였다.

화장품협회나 식약처는 올해부터 위생허가 교육 등을 적극적으로 실시해 나가기로 세웠다. 올해 초 대한화장품협회는 중소기업의 대 중국 수출 지원 강화를 위해 위생행정허가 교육을 연 9회(상반기 6회, 하반기 3회) 확대 실시하고 중국 위생행정허가 심사위원을 연사로 초청 보다 전문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허가 절차 및 서류 작성 등 위생행정허가 심사 기준 및 허가 취득 성공과 실패 사례 등을 교육해 나가기로 했다.

이 같이 위생허가를 극복하기 위해 식약처와 화장품협회가 올해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던 위생허가 100%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사드 문제가 터지면서 현안에서 밀려났으며 오히려 세관에서의 통관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11년부터 중국 북경에 직접 지사를 두고 국내 화장품의 위생허가를 전문적으로 대행하고 있는 우미희 대표는 전화 인터뷰를 갖고 “지난해에는 화장품 위생허가가 진행되지 않아 문제로 대두됐다. 올해에는 아주 원활하지는 않지만 차질없이 위생허가 승인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더 큰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 북경의 경우에는 위생허가를 신청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샘플이 세관에서 통과되지 못하고 반송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중국 전역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인지는 모르겠다.”며 이상기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우 대표는 “최근에 위생허가 신청을 위해 검사에 필요한 해당 샘플을 보냈으나 세관에서 보류되는 현상이 속속 발생하고 있다. 또 중국의 위생허가 기준이 변경되면서 검사에 필요한 샘플 개수고 20-40개 정도로 많아졌다. 수량이 많아져 더 힘들어 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위생허가 한 품목을 맡으려면 두 세번에 걸친 현지 방문이 필요하다. 최근 북경을 방문해 보니 북경 세관에 한국의 화장품 관계자들이 줄을 서서 대기하는 모습을 목격했다”며 검사에 필요한 샘플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위생허가도 자연스럽게 지연도리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