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킨케어 톤당 수출액, 3만 3천달러서 2만 4천달러로 악화
메이크업 톤당 수출액, 8만 5천달러서 10만 8천달러로 증가

국내화장품은 중국 특수를 통해 만들기만 하면 팔리는 풍요로운 시대를 지냈다. 하지만 2022년부터 연구개발 및 현지 마케팅 부족, 소극적인 유통채널 개척, 중국 로컬 브랜드의 성장 등으로 위축되고 있다. 따라서 미국과 북미시장과 동남아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따라서 관세청의 HS코드를 분석해 9대 수출국에 대한 통계데이터로 글로벌 진출 현황을 진단하고 있다. -편집자 주-

[1]2023년 2월 중국 수출입 현황

산자부의 화장품 수출 통계에 따르면 1월에 4억 6,8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7.2% 하락됐지만 2월에 6억 5,300만 달러를 달성해 전년 동월 대비 13.8% 증가됐다.

이처럼 K뷰티의 수출이 전체적으로 증가됐고 국내 화장품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 수출도 증가된 것으로 조사됐다. 관세청의 지난 2월 K뷰티 스킨케어 중국 수출 통계에 따르면 1억 1,232만 달러로 지난 1월 6,271만 달러 보다 약 두배가까이 증가돼 다시 활력을 찾고 있다.

하지만 전년 동월에는 1억 3,664만 달러로 아직 회복됐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 특히 지난 2021년 2월에 1억 5,905만 달러를 기록했기 때문에 완전 회복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다. 

특히 수출액은 증가하고 있지만 채산성은 점점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돼 문제점이 발견됐다. 지난 2021년 2월 톤당 수출액은 3만 5천달러였다. 2022년 2월은 톤당 3만 3천달러였다. 올해 2월은 톤당 2만 4천달러로 계속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 K뷰티 스킨케어 중국 수출 현황(관세청 자료 캡처, 단위 : 천 불(USD 1,000),톤(TON))
지난 2월 K뷰티 스킨케어 중국 수출 현황(관세청 자료 캡처, 단위 : 천 불(USD 1,000),톤(TON))

한편 중국산 스킨케어 수출액은 2021년 2월 90만 달러였고, 2022년 2월 385만 달러였고, 올해 2월은 72만달러였다. 따라서 K뷰티 스킨케어 무역수지도 2021년 2월 1억 5,814만 달러였지만 2022년 2월은 1억 3,278만 달러로, 올해 2월은 1억 1,160만 달러로 계속 감소되고 있다.

지난 2월 K뷰티 메이크업의 중국 수출액의 경우에는 1,815만 달러로 전월 1,345만 달러 보다 약 5만달러 정도 증가됐다. 하지만 전년 동월에 2,324만 달러를 달성했기 대문에 약 50만 달러가 감소됐다. 그러나 지난 2021년 2월에는 1,849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 메이이크업의 톤당 수출 가격은 지난 2021년 2월에 7만 5천달러였지만 2022년 2월은 8만 5천달러로, 올해 2월은 10만 8천달러로 점점 채산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고가제품이나 혹은 제값을 받고 수출되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한편 중국산 메이크업 수입액은 지난 2021년 2월 8만 달러였고, 2022년 2월 22만 달러였고, 올해 2월은 70만 달러로 증가됐다. 따라서 메이크업의 무역수지는 지난 2021년 2월 1,841만 달러였고, 2022년 2월은 2,301만 달러였고, 올해 2월은 1,745만 달러로 감소됐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