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2,981만 달러 VS 중국 1억 1,232만 달러
월 수출액 2천만 달러 박스권서 탈출 못해...
수입 감소하면서 1,880만 달러 무역수지 달성

국내화장품은 중국 특수를 통해 만들기만 하면 팔리는 풍요로운 시대를 지냈다. 하지만 2022년부터 연구개발 및 현지 마케팅 부족, 소극적인 유통채널 개척, 중국 로컬 브랜드의 성장 등으로 위축되고 있다. 따라서 미국과 북미시장과 동남아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따라서 관세청의 HS코드를 분석해 9대 수출국에 대한 통계데이터로 글로벌 진출 현황을 진단하고 있다. -편집자 주-

[2]2023년 2월 미국 수출입 현황

지난 2월에 국내 화장품 총 수출액은 6억 5,300만 달러를 달성해 전년 동월 대비 13.8% 증가됐다. 대 미국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수출도 증가된 것으로 조사됐다.

관세청의 지난 2월 미국 기초화장품 수출 통계에 따르면 2,981만 달러로 전년 동월 2,174만 달러 보다 800만 달러 정도 증가됐다. 또 전월 2,567만 달러 보다 400만 달러 증가돼 시장 개척 가능성이 향상됐다. 하지만 지난 2월 중국 스킨케어 수출액은 1억 1,232만 달러로 4배정도의 격차를 보이고 있어 아직 중국 시장을 대체하기에는 많이 부족하다.

특히 스킨케어의 톤당 수출 가격의 경우에는 지난 2021년 2월에 1만 8천달러였다. 이어 2022년 2월에 2만 2천 달러였고, 올해 2월에 2만 4천 달러로 해를 거듭할수록 수출 채산성이 점점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산 스킨케어 수입액은 2021년 2월에 1,466만 달러였고, 2022년 2월에 1,209만 달러, 올해 2월에 1.101만 달러로 각각 감소됐다. 따라서 무역수지는 2021년 2월에 683만달러였고, 2022년 2월에 964만 달러, 올해 2월에 1,880만 달러로 크게 개선됐다.

하지만 월간 수출액은 지난 2022년 2월 2,174만 달러, 3월 3,014만 달러, 4월 3,019만 달러, 5월 3,049만 달러, 6월 2,876만 달러, 7월 2,883만 달러, 8월 2,461만 달러, 9월 2,463만 달러, 10월 2,437만 달러, 11월 2,630만 달러, 12월 2,502만 달러, 올해 1월 2,567만 달러, 2월 2,964만 달러로 2천만 달러의 박스권에서 계속 횡보하고 있다.

K뷰티 미국 수출 현황(관세청 자료 캡처, 단위 : 천 불(USD 1,000),톤(TON))
K뷰티 미국 수출 현황(관세청 자료 캡처, 단위 : 천 불(USD 1,000),톤(TON))

지난 2월에 메이크업 수출액의 경우에는 478만 달러로 전년 동월 448만 달러 보다 30만 달러 증가됐다. 특히 지난 2021년 2월에 289만 달러와 비교하면 무려 159만 달러가 증가됐다. 그러나 전월에 493만 달러를 기록했기 때문에 15만달러가 감소됐고 500만 달러를 돌파하지 못했다.  

특히 톤당 수출 가격의 경우에는 2021년 2월에 3만 3천달러였다. 이어 2022년 2월에 3만 9천 달러로 증가됐지만 올해 2월에 3만 1천 달러로 크게 하락해 제값을 받지 못하고 밀어내기식 수출을 진행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됐다.

반면 미국산 메이크업 수입액은 2021년 2월에 57만 달러였고, 2022년 2월에 54만 달러, 올해 2월에 62만 달러로 증가됐다. 따라서 무역 수지는 2021년 2월에 231만 달러였고, 2022년 2월에 390만 달러, 올해 2월에 416만 달러로 해마다 증가되고 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