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외교적 마찰에도 중국 수출 및 판매 향상...
국내 인디 브랜드 메이크업 지난해 중국서 9위 달성...
사드 위기 감지된 6년간 대책 수립 못해...
10여년째 글로벌 외쳤지만 수출 다변화 못해...

오늘(21일) 화장품 주가는 참혹했다. 한 투자자는 '해도 너무한다. 어떻게 이렇게 떨어지냐'라고 탄식했다.

화장품 종목은 주가를 상승시킬만한 호재가 공급되지 않으면서 지난 17일 1.41% 하락됐다. 하지만 올해 1분기 중국의 경기와 화장품 판매경기 회복 등 중국발 호재가 나오면서 18일 4.68%, 19일 0.16% 등 2일 연속 상승돼 희망이 있었다. 어제(20일) 2.24%, 오늘(21일) 6.71% 등 이틀 연속 폭락됐다. 화장품 투자자들은 중국과 외교적 마찰을 하락 이유로 주목했다.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은 K뷰티는 한-중간 외교적 마찰이 K뷰티 대중국 수출 및 판매 부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 없다. 그러나 화장품업체들이 매출 부진을 자신들의 실력이 부족한 책임을 다른 곳으로 전가하려는 주장일 가능성도 한번 생각해 볼대가 됐다.

박근혜 전 정부때 사드 배치로 중국은 한한령과 단체관광광객 금지를 발표했다. 이때 화장품업체들과 증권가는 K뷰티 불매운동 등으로 매출이 하락했다고 주장했지만 산자부와 중국 해관총서의 자료에 따르면 K뷰티의 수출은 계속 증가했다. 특히 지난 3년 전 코로나가 발생됐을 때도 코로나로 고전한다고 주장했으나 2021년 K뷰티 총 수출액은 세계 3위를 달성했다.

특히 국내의 인디 패션 브랜드인 스타일난다의 3CE는 몇 년전 로레알에 매각됐다. 이 메이크업 브랜드는 코스메틱 등 국내에서 OEM방식으로 생산되고 있고 '메이드 인 코리아'로 표기돼 한국의 메이크업으로 알고 있다. 최근 O-O data 국제컨설팅회사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중국 티몰 등 17개 플랫폼에서 매출 9위를 달성했다. 

또 최근 오테오 국제컨설팅(欧特欧国际咨询公司)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분기 타오바오, 티몰, 징둥, 틱톡, 콰이쇼우 및 기타 플랫폼을 포함한 메이크업부문 매출에서 10위를 달성했다. 특히 미중간 외교적 마찰은 수년간 지속되고 있지만 에스티로더 등 미국 화장품은 중국 시장에서 굳건하다. 

이처럼 수출 금액이나 '메이드 인 코리아' 등 국적에 따른 통계에서는 막대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업체들도 정치적 영향으로 피해를 당했다는 구체적인 데이터도 발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정치적 영향 외에 가격이나 판매채널, 마케팅 등 다른 상항들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업체나 증권가의 주장을 수긍한다하더라도 사드 사태는 지난 2017년 9월 7일에 발생됐다. 위기를 감지한지 지난 6년동안 대책을 마련하지 못했다. 게다가 아모레퍼시픽 등 국내업체들은 오래전부터 글로벌추진을 발표했고 지금도 많은 브랜드는 '글로벌 000 브랜드'라고 수식어를 표기하고 있지만 수출가가 다각화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등는 지난해부터 미국 등 북미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아무튼 K뷰티가 다시 도약하고 투자자에 기쁨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소비자가 믿고 찾는 제품으로 거듭나야할 한다. 

K뷰티의 위기 원인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K뷰티의 위기 원인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K뷰티가 중국 특수를 누릴때 중국의 소비자들은 브랜드의 로얄티를 판단하지 못했다. 그러나 지난 10여년 동안 세계 각국의 화장품이 중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브랜드 로얄티를 판단할 수 있게 됐다. K뷰티가 중국 및 글로벌 시장에서 어늦어도 인지도를 확보했는지 돌아보아야 한다. 또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