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장품 소싱 자금 타국 브랜드로 선회

[뷰티경제=한상익 기자] 중국의 올해 정책방향을 수립하는 양회와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인 3.15 완후이가 끝났다. 우려와는 달리 한국화장품은 언급되지 않았다.

특히 중국내에서의 한국화장품 불매운동 확산 등에 반한감정은 더 이상 확산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에 거주하면서 화장품 유통에 종사하고 있는 모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한국화장품을 겨냥한 직접적인 조치는 없다. 기존의 상황과 같이 위생허가나 통관지연, 일부 화장품 매장의 판매거부다”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사드 배치 부지를 제공한 롯데에 대한 반한 감정이 나타나면서 중국 정부의 지접적인 발표는 없지만 한국화장품에 대해 ‘가격 대비 품질력’ 그리고 ‘좋은 이익 구조’ 등을 가지고 있지만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에 휩쓸려 유통인들이 내심 꺼려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설명했다.

“중국내 영업을 하려고 해도 현지 유통인들이 기피하고 있다. 이미 맺었던 판매 계약도 성사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중국에 진출한 많은 한국화장품 지사들은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이 같은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중국에서 단일 규모로 가장 큰 체인스토어를 확보하고 있는 W유통회사의 경우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한국화장품을 입점하기 보다는 타 국가의 화장품을 입점하려는 노선 변경도 나타나고 있다”며 중국 정부의 발표는 없지만 현장에서는 한국화장품 취급 기피 현상이 계속 발생하고 있고 강조했다.

“지난주에 W유통회사는 벤더 회의를 소집한 것으로 알고 있다. 올해 화장품 입점 계획 등을 세우는 매우 중요한 회의다. 해마다 진행된다. 벤더는 W유통회사에 세계 각국의 화장품을 소싱해 입점 및 판매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벤더들이 해당 유통회사에 해외 화장품을 소싱해 납품하면 중국 전역에서 동시에 판매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한국화장품이 채택되지 않았다. 몇 개 브랜드가 논의됐지만 모두 ‘D 등급’을 받아 소싱을 중단한 것으로 신뢰를 줄 수 있는 유력 관계자에게 전해 들었다”고 물밑 기류를 전했다.

“한국화장품을 취급하는 벤더가 올해 배정된 예산을 집행하기 위해 다른 국가의 화장품을 구입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아마도 한국과 가까운 국가로부터 소싱을 추진하기 위해 최근 출국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따라서 “양회와 3.15 완후이에서 한국화장품에 대한 직접적인 발표는 없었지만 이미 중국 내부에서 형성된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당분간 한국화장품 취급 기피 현상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