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반한 감정 극복위한 수출 다변화 등 모색 강화...

[뷰티경제=한상익 기자] 최근에 상장한 토니모리나 한불화장품 등은 상장을 통해 얻은 자금을 바탕으로 중국에 생산시설을 갖춘다는 계획을 세우고 추진하고 있다. 까다로운 위생허가나 통관 등의 허들을 넘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특히 현재 국내 경기가 호조가 아니며 정부도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다각 적인 노력을 하고 있는 데도 불구하고 중국에 생산기지를 구축하고 있다. 미국의 트럼프정부 등 세계 각국들이 ‘리쇼어링’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자칫하면 국내의 여론이 악화될 잠재성을 지니고 있지만 강행해왔다.

한국수출입은해 해외통계 자료에 따르면 국내 화장품 업체의 대중 직접투자 추이는 지난 2013년에 16개에 달하는 한국 화장품 법인이 2014년에 16개로 유지됐지만 2015년에는 22개로 2016년에는 48개로 4년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투자 금액도 2014년에는 1찬만 달러 였지만 2015년에는 1,500만 달러로 2016년에는 3,500만 달러로 증가했다.

 

국내 기업들은 중국의 화장품 규정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시장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북한의 핵 개발로 국내 안보에 위기가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공격을 대비하기 위해 사드 배치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는 자국의 안보를 훼손한다며 한한령 등 문화컨텐츠에 대한 제재를 가하면서 사드 배치 철회를 간접적으로 요구했다. 그러난 정부는 국가 안보에 해당하는 것이라며 조기 사드 배치를 확정했다.

사드를 배치할 경우 중국 정부는 압박이 거세질 수 있다고 누구나 감지했다. 특히 화장품산업도 피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판단을 지난 2016년부터 충분하게 느끼고 있었다. 산업에 피해가 올지라도 국가 안보에 직결된 사항이므로 가급적 언급을 자제하고 있다.

지금도 여러 가지 경로에서 부적절한 사례가 발생하고 있지만 공식적인 언급은 없다. 중국의 한 화장품 판매상이 한국화장품을 판매를 거부하는 가하면 거대 온라인 쇼핑몰이 판매 중단을 선언했다고 알려지고 있다.

거기다 최근 열린 광저우화장품박람회에서는 국내 참가 기업들인 샘플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본품을 판매를 간접적으로 제재하고 있다. 일부 중국 유통인들도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당분간 판매를 자제한다며 계약을 파기하고 있다.

또 중국 최대의 오프라인 유통의 경우에도 한국화장품을 판매하지 않거나 판매를 한다하더라도 ‘한국’이나 ‘코리아’라는 고유명사를 모두 떼고 판매한다는 내부 지침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국내 모 그룹의 경우에는 중국 현지에서 브랜드에 대한 대중 광고를 진행하기 위해 중국 현지 기획사와 계약을 맺고 추진했지만 최근의 사드 문제로 무기한 연기됐으며 중국에 진출한 모 OEM사는 소방안전시설 점검을 실시하겠다는 통지를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곳곳에서 중국 정부의 보이지 않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만 어느 곳 하나 정확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화장품협회의 한 관계자는 “화장품이 이슈가 되면서 다양한 매체에서 공식적인 입장을 요구하고 있지만 심사숙고하면서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앞으로 어떤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들도 이미 지난해부터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계속)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