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력 있고 사후관리 잘해주는 대행사 선정이 급선무

[뷰티경제=한상익 기자] 국내 중소 화장품사들의 중국 위생허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전환이 시급하다.

지난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 화장품의 중국 의존도는 높아졌다. 지금도 대부분의 기업들이 미국이나 유럽 보다는 중국을 중요시하고 있다. 지리적인 접근성과 비슷한 문화, 국내 화장품의 인지도 등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중국은 매우 중요한 국가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이처럼 중국은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국가다. 그동안 중국에 화장품을 수출하면서 중국 정부의 규정인 위생허가를 받아도 되고 안 받아도 판매에는 큰 지장이 없었다. 정식수출이든 따이공이든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정부가 지난 4월에 행우세를 시행하면서 중국 정부의 위생허가를 받지 않은 외국산 화장품 판매에 대한 규정을 엄격하게 시행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또다시 최근에는 1년간 유예기간을 정해 발표했다.

과거에도 중국 정부는 위생허가 규정을 두어서 운영했지만 앞으로는 보다 철저하게 관리 및 운영할 계획을 시사했다. 때문에 앞으로 중국 수출을 위해서는 따이공 보다는 정식 통관을 거쳐야 하며 통관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위생허가’가 첫 번째 관문으로 등장했다.

현재 아모레퍼시픽이나 엘지생활건강 등 국내 상위권의 기업들은 장기적인 차원에서 중국 시장에 접근했기 때문에 특별한 이슈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 또 자체적으로 위생허가 전담팀을 두고 규정 변화 등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하고 있다.

문제는 중소기업이다. 과거에는 따이공에 대한 규제도 엄격하지 않아 굳이 위생허가가 준비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좋은 품질력과 적절한 공급 가격으로도 충분하게 중국 시장을 공략할 수 있었다. 하지만 따이공 규제와 행우세 시행으로 수출을 한다 하더라도 중국 현지 판매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게 됐다.

그렇다고 대기업처럼 장기적인 시장 접근전략과 전담 부서를 두면서 위생허가를 준비하고 취득하는 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중국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위생허가가 제일 중요하다는 사실이 인식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어느 대행기관에 맡겨야 할지? 서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어느 기관이 공신력이 있는지?’ 파악하기가 난감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중국의 위생허가를 대행해 주는 에이전시에 맡기거나 혹은 중국의 에이전시를 찾아서 위생허가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시비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비용은 비용대로 쓰면서 만족할만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 중소 마스크 팩사는 최근 중국에서 마케팅과 유통망을 확장하면서 총 5가지 품목의 위생허가를 신청했다. 한 가지만 승인이 됐으며 나머지 4개 품목은 보완이 떨어졌다. 중국의 해당 에이전시가 보완을 해 다시 접수하면 된다는 메시지를 믿고 다시 추진하고 있다.

이 마스크 팩사는 다른 경로를 통해서 확인한 결과, 중국 정부에서는 ‘허가를 불피준한다’고 밝히고 제19조1항에 위반됐다고 밝혔다는 것이다. 이 조항은 ‘허구적인 내용으로 꾸며서 제출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 현재 난감한 처지에 놓여있다.

이와 관련, 이용준 북경 매리스 한국 지사장은 “보기에 따라서는 서류를 보완해서 다시 제출할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의 정서를 감안하면 거짓말로 서류를 작성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정부의 당국자가 이를 다시 승인해 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자칫하면 또다른 피해를 볼 수 있다. 다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현재 한국의 화장품사들은 위생허가를 추진할 때 비용과 기간을 가장 우선시하고 있다. 이미 전산화가 됐기 때문에 위생허가가 빨리 나올 수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오히려 서류 작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명규 화장품협회 전무도 “19조1항이 문제가 될 경우에는 다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정부 관계자들과 마찰을 일으키면 자칫 블랙리스트에 올라가 중국 진출 기회를 상실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