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순위 변동·판매량 기복 없어...
K뷰티 3개 제품 10위권 유지하며 선전

국내 화장품이 중국 시장 활성화를 위한 돌파구를 아직 찾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2022년 7월부터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플랫폼인 티몰 전체에서 마스크팩, 스킨케어, 자외선차단제, 베이스, 파우더, 수분크림, 비비크림, 클렌징폼 등 8가지 카테고리서 높은 판매량을 달성하고 있는 제품 10개에 대한 가격대와 성분 등 트랜드를 비교했다. -편집자 주- 

[4]중국 베이스 메이크업 구매 트렌드  

4월 중국의 베이스 메이크업 시장은 소강상태를 유지했다.

티몰의 베이스 메이크업 부문의 TOP 10제품의 총 판매량이 1월 판매량은 27만개였지만 2월 41만개, 3월 33만개로 감소됐다. 4월에도 31만개로 소폭 감소됐다. 따라서 1월에 홍보 등 마케팅하고 2월부터 집중적인 판매 전략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TOP 10 제품의 최고 판매량은 지난 3월에 9만개를 달성했고 4월에도 동일한 판매량을 기록했다. 최저 판매량은 1만개로 동일해 브랜드 인지도가 형성됐고 시장이 안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스크 팩 등 다른 부분의 경우에는 K뷰티 브랜드의 10위권 진입이 드물었지만 베이스부문은 K뷰티가 3개가 진입해 유일하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10위권에 글로벌 브랜드의 진출이 없는게 특색이다. K뷰티와 중국 브랜드와 경쟁하는 구조다. 그러나 중국 로컬 브랜드가 항상 1위 판매량을 달성하고 있다. 또 K뷰티 제품과 3만개 이상의 격차를 보이고 있어 새로운 신제품을 공급해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거나 마케팅을 강화해 지속성장을 추진하는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브랜드별 판매 순위에 대한 변동이 없었다. 중국 로컬 브랜드가 1위를 차지하고 K뷰티가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때문에 브랜드 인지도가 형성돼 성숙기로 진입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J뷰티 브랜드가 지난 3월에 비해 판매량이 1만개 증가됐다. 

4월 중국 베이스 시장은 안정성을 유지했다.
4월 중국 베이스 시장은 안정성을 유지했다.

한편 4월 브랜드별 판매량은 Za(중국) 9만개, 라네즈(한국) 6만개, ZEESEA(중국) 5만개, OSITREE(중국) 2만개, 위노나(중국) 2만개, TIMAGE(중국) 2만개,  CPB(일본) 2만개, geoskincare(중국) 1만개, 더마펌(한국) 1만개, 유니클럽(한국) 1만개 등의 순이었다.

지난 3월 브랜드별 판매량은 Za(중국) 9만개, ZEESEA(중국) 6만개, 라네즈(한국) 6만개, OSITREE(중국) 3만개, 위노나(중국) 2만개, 더마펌(한국) 2만개, TIMAGE(중국) 2만개, geoskincare(중국) 1만개, 유니클럽(한국) 1만개, CPB(일본) 1만개 등이다.  

한편 K뷰티 베이스 메이크업 TOP10 제품의 4월 티몰 총 판매량은 11만개로 전월 대비 소폭 감소해 티몰 전체 베이스 판매 상황과 비슷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