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킨케어·립스틱·아이섀도, 100% 이상 폭등
스킨케어 6월 수출 전년 동월비 110% 증가

국내화장품은 중국 특수를 통해 만들기만 하면 팔리는 풍요로운 시대를 지냈다. 하지만 2022년부터 연구개발 및 현지 마케팅 부족, 소극적인 유통채널 개척, 중국 로컬 브랜드의 성장 등으로 위축되고 있다. 따라서 관세청의 HS코드를 분석해 10대 수출국에 대한 통계데이터로 글로벌 진출 현황을 매월 진단한다. -편집자 주-

[6]2분기 대 러시아 화장품 수출입 현황

우크라이나 사태 후에도 대 러시아 화장품 수출이 계속 증가되면서 이제는 수출 유망 국가로 부상했다.

관세청에서 스킨케어, 마스크 팩, 메이크업, 립스틱, 아이섀도, 파우더, 샴푸 등 7개 품목의 대 홍콩 2분기 수출입 실적과 전년 동기 수출입 실적 통계를 비교 분석했다.

스킨케어, 마스크 팩, 메이크업, 립스틱, 아이섀도, 샴푸 등 6개 품목의 수출액이 지난해 2분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됐으며 파우더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스킨케어 수출은 지난해 2분기 2,241만 달러였지만 올해는 4,888만 달러로 118%, 마스크팩은 467만 달러에서 681만 달러로 45%, 샴푸는 273만 달러에서 435만 달러로 59% 각각 증가했다.

또 메이크업은 175만 달러에서 325만 달러로 85%, 립스틱은 24만 달러에서 95만 달러로 295%, 아이섀도는 12만 달러에서 39만 달러로    225% 각각 증가했다. 반면 파우더는 25만 달러에서 23만 달러로 -8% 감소됐다.

러시아가 국내 화장품의 주요 수출 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러시아가 국내 화장품의 주요 수출 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러시아산 화장품의 수입의 경우에는 스킨케어, 마스크 팩, 립스틱, 아이섀도, 파우더, 샴푸는 없었고 메이크업만 지난해 0.5만 달러에서 1.5만 달러로 200% 증가했다.  

한편 6월 수출의 경우에는 스킨케어는 지난해 6월 764만 달러에서 올해 6월은 1,607만 달러로 110%, 마스크팩은 228만 달러에서 275만 달러로  20%, 샴푸는  111만 달러에서 144만 달러로 29% 각각 증가했다.

또 메이크업은 62만 달러에서 121만 달러로 95%, 립스틱은 1.5만 달러에서 67만 달러로 4,366%, 아이섀도는 1.9만 달러에서 19만 달러로 900% 각각 증가했고, 파우더는 9.9만 달러에서 8.5만 달러로 -14% 감소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