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수출액 전년 대비 5개월 증가
중국 감소됐지만 미국 등 증가

산자부는 10월 국내 화장품의 총 수출액은 1조 388억원(7억 6,500만 달러)으로 전년 동월 79,357억원(6억 8,900만 달러) 대비 11.0% 증가됐고 5개월쩨 증가세라고 발표했다.

산자부의 수출 통계는 국가별로 세분화되어 있지 않아 국내화장품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 등 다른 국가에 대한 수출액 증감은 추산할 수 없어 어느 국가가 K뷰티를 애용하는지 파악할 수 없다.

국내 뷰티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해관총서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화장품은 지난해 2조 2,900억원(127억 위안)이 수입됐지만 올해 9개월 동안 1조 9,400억원(107억 위안)으로 15.7%가 감소됐다고 집계해 중국 수출이 감소됐다.

또 관세청의 10대 수출국의 스킨케어 등 7개 주력 품목 10월 수출 통계에 따르면 중국과 태국 등 두 국가만 감소됐고 미국 등 8개국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의 통계에서 중국 등 10대 수출국에 대한 K 뷰티의 7대 품목의 10월 수출액은 중국은 전년 동월 대비 985억원(-30%), 태국은 9억원(-9%) 각각 감소됐다.

그러나 미국은 89억원(80%), 일본은 89억원(18%), 홍콩은 181억원(57%), 베트남은 72억원(38%), 러시아는 59억원(30%), 대만은 33억원(31%), 싱가포르는 10억원(12%), 말레이시아는 28억원(38%) 각각 증가됐다. 

이처럼 중국의 해관총서와 관세청의 7대 품목의 수출 통계에서 국내 화장품은 중국에 대한 수출은 감소되는 것으로 드러났지만 산자부의 국내 화장품 총 수출 총액은 증가됐다. 

K뷰티가 수출국 다변화를 통한 중국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K뷰티가 수출국 다변화를 통한 중국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따라서 K뷰티는 중국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점차 낮추면서 기존의 수출국에 대한  수출 증가를 추진하면서 수출국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몇 년 후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 뷰티 소비시장이고, 중국서 높은 성장을 하면서 세계의 주목을 이끌어냈기 때문에 후퇴 보다는 현재 상황을 유지하면서 재도약의 기회를 탐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