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부처별 예산 통합 운영 해야...장기적으로 산업 육성 가능

[뷰티경제=김연균 기자]지방자치단체가 추진 중인 화장품 사업의 효율적인 브랜드 육성을 위해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기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부처별로 운용 중인 관련 예산을 통합하고 대외 수출에 걸림돌이 발생할 경우 해결 능력을 보유한 기관 자체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상당수의 지자체가 지역 산업 발전을 위해 화장품 산업을 전략 산업으로 지정하고, 독자적인 사업전략을 수립·육성하고 있지만 글로벌 브랜드 업체의 마케팅에 밀려 해외 수출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사드’문제와 같이 국가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사건에 대해 재정 역량이 부족한 지방자치단체는 해당 지역 산업 및 화장품 제조업체에 이렇다할 대안을 제시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충청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충청권 농공단지 내에는 화장품과 동물의약품, 식품 관련 기업 100여개 업체를 중심으로 ‘충남농공미니클러스터’가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미니클러스터에 속한 화장품 기업들이 중국과 거래를 하면서 피해를 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먼저 가장 큰 피해는 통관절차에서 발생한다. 천안 제3일반산업단지에 위치한 주환 바이오·셀의 경우, 지난해 5월 중국 기업과 연간 3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품목은 화장품 30여종으로, 지난해 12월 20일 1억원 규모의 첫 물량을 선적했는데 아직 중국 세관에 묶여있다. 첫 선적을 위해 생산한 물량은 4억5000만원 상당인데 현재 창고에 쌓여있는 상태다. 계획대로라면 지금쯤 30억원 가량의 물량이 중국시장에 풀렸어야 한다.

해당 업체 관계자는 “사드와 같이 국가간 문제를 중소기업이 해결할 수도 없는 문제고 신규 제품 개발은 엄두도 못내고 있다”며 “더욱이 재정 여력이 부족한 지방자치단체는 박람회 유치, 해외 시장 견학 등에만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이라 중소 화장품 제조회사들에게 맞춤형 마케팅 지원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중앙 부처별로 갈라져 있는 예산도 효과적인 화장품 산업 육성을 위해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즉 화장품산업단지 조성, 화장품지원센터 건립, 지역천연화장품 개발 등으로 지원되는 예산을 통합 관리한 컨트롤 타워를 신설해 글로벌 브랜드와 어깨를 견줄 수 있는 지역 우수 브랜드를 양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보건복지부는 매년 화장품 산업 지원 사업에 100억원 전후를 지원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이외에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도 화장품 산업에 대해 R&D를 지원하고 있으나, 이는 화장품 산업을 지원 목적이 아닌 자기 부처의 사업을 수행하면서 화장품 산업 관련 업체들이 일부 포함되는 상황이다.

가령, 산업통상자원부는 경제활성화사업, 지역특성화사업, 중소기업지원사업 명목으로 연간 200~300억원을 화장품 관련 기업에 지원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충청 지역 화장품 제조회사 관계자는 “지역 브랜드 화장품의 경우 가성비를 앞세워 해외 중저가 기초 화장품 시장에서 점진적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신제품 개발을 위한 자금 확보가 어려워 생계형 중소기업이 다수이고 중국이나 동남아 지역 수출이 80%를 넘기 때문에 이번과 같이 정치적 이슈가 발생할 경우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장기적인 화장품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대형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지원도 좋지만 우수한 품질을 보유한 중소 화장품 제조 회사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