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인순 국회의원, “국내 화장품 수출 다변화 지원 정책 마련 촉구”

[뷰티경제=이덕용 기자]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의존도가 41%를 넘어, 리스크 관리 및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13일 보건산업진흥원이 남인순 의원(보건복지위·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대중국 보건산업 수출입 의존도'에 따르면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 의존도는 2013년 22.1%에서 2015년 41.1%로 급증했다"고 밝혔다. 또한, 화장품의 무역수지 흑자는 2013년 2억 7,434만 달러에서 2015년 10억 4,210억 달러로 279.9% 증가했다고 소개했다.

이는 화장품의 해외 수출 의존도가 중국으로 심하게 편중됐음을 나타낸다. 또한 사드 관련 중국이 보복조치를 취할 경우 화장품업계가 가장 큰 피해을 입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소위 '중국 절벽'이라는 극도의 매출 부진이 우려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얘기다.

실제 남 의원이 '한반도 사드 배치와 관련하여 중국의 무역제재 가능성과 대응전략'에 대한 질의에 대한 서면 답변에서도 이런 우려가 엿보인다. 사드 배치 발표 이후 중국의 보복 우려에 대해 보건산업진흥원은 "한국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으로 인한 중국 정부의 경제 보복 및 중국 내 반한 감정 확산이 우려되며, 중국 정부가 강한 반대 의사를 표방함에 따라 직·간접적 경제제재(economic sanctions) 가능성이 증대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중국의 무역제재 시 대응전략으로 "보건산업별 중국 현지 유관기관 등과의 협력을 통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무역제재 시 대응전략과 관련하여, 보건산업진흥원은 "의약품의 경우 △중국 지방정부가 설립한 의약산업단지에 진출하여 세금감면과 인허가 절차 간소화 등 우대혜택을 이용 △중국 도매업체 및 제약영업대행사(CSO)와의 M&A를 통한 유통망 확보로 내수시장 공략 △중국 내 법인을 설립하여 생산기지를 현지화하여 중국생산 제품으로 인정받아 인허가 절차 간소화와 중국공공시장 진출로 판로 확대 △대부분 중소기업임을 고려하여 입지선정부터 산업단지와 인센티브 협상까지 공동 진출 전략을 통해 전문성 확보 및 재원 절감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화장품에 대한 답변은 내놓지 않았다.

남인순 의원은 "중국에 집중돼 있는 국내 화장품 수출을 미주·유럽·동남아 국가들로 다변화해서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며 "정부와 관련 단체도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중국 이외의 국가의 수출 확대를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사드와 관련된 화장품 업계의 수심도 벌써 98일째 이어지고 있다. 보건산업진흥원이 의약품의 사례를 들어 대응전략을 발표했듯이 화장품 기업들도 유사 방안을 통해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남인순 의원이 관련 대책 마련을 촉구한 것은 그나마 다행스런 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